•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빅테크 알고리즘 규제 연구: 알고리즘이 통제하는 사회에서 국가가 알고리즘을 통제하는 사회로? (A Study on the Regulation on China's Big Tech Algorithm: From an Algorithm-controlled Society to a State-controlled On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11
16P 미리보기
중국의 빅테크 알고리즘 규제 연구: 알고리즘이 통제하는 사회에서 국가가 알고리즘을 통제하는 사회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25권 / 4호 / 35 ~ 50페이지
    · 저자명 : 이중희

    초록

    2022년 1월에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등은 알고리즘과 관련된 규제 규정을 제정했다. 그것은 <인터넷 정보 서비스 알고리즘 추천 관리 규정>이다. 본 연구는 이 규정을 분석하여 그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가 찾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최초로 빅테크의 알고리즘을 규제하는 <규정>을 제정하고 실시하고 있다는 점은 중국에서 국가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빅테크에 대해 압도적인 우위에서 규제를 행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한다. 다른 나라에서도 알고리즘에 대한 문제점이 사회경제적 문제로 논쟁이 되고 있지만, 빅테크는 아직 알고리즘을 영업비밀로 공개하기를 꺼리고 국가의 규제도 아직 알고리즘의 세부사항에 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규정>에 대한 분석에서 보듯이 알고리즘에 대한 국가규제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알고리즘의 요건을 명시하고 있다. 아울러 이용자의 권익보호차원에서도 소비자, 노동자, 노인, 미성년자 등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조항을 갖고 있다. 둘째, 알고리즘 규제는 중국에서 빅테크에 대한 규제가 보다 체계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중국에서는 국가가 2020년 말 빅테크에 대한 무규제에서 강력한 규제로 전환하다가 2022년에 접어들어 강력한 규제로부터 체계적 규제로 전환해왔다. 알고리즘 규제도 이런 체계적 규제의 영역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국에서 국가는 알고리즘에 대한 규제를 통해서 빅테크에 대한 통제를 지속하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가의 강력한 규제 는 부작용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규제는 좀 더 세부적 영역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세계에서 최초의 <규정> 제정과 실시는 중국에서 알고리즘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해가 적지 않다는 점을 말한다. 실제 각종 조사는 알고리즘에 대한 피해 경험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빅데이터의 '바가지 씌우기' 경험이 90%에 가깝고, 배달, 쇼핑, 관광, 공유차량 등의 플랫폼에서 바가지 씌우기 경험이 있었다는 조사가 이를 말해준다.

    영어초록

    In January 2022, the Cyberspace Administration of China (CAC) and others enacted regulations related to algorithms. It is the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Algorithmic Recommendation Management Regulations. This study analyzes this regulation to find its meaning. The conclusion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 that the world's first regulations on big-tech algorithms are enacted and implemented means that in China, the state exercises an overwhelming advantage over other countries in regulations on big-tec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other countries, the problem of algorithms is being debated as a socioeconomic problem, but Big Tech is still reluctant to disclose algorithms as trade secrets and state regulations have yet to reach the algorithms. On the other hand, in China, as shown in the analysis of the Regulations, the goal of national regulation on algorithms is clarified and the requirements of algorithms are specifi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users' rights and interests, it has provisions for various users such as consumers, workers, the elderly, and minors. Second, algorithmic regulation is an example that shows that regulations on big tech in China are moving in a more systematic direction. In China, the state has shifted from non-regulation to strong regulation of big tech at the end of 2020, but has shifted from strong regulation to systematic regulation in 2022. Algorithmic regulation can also be seen as an area of this systematic regul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n China, the state is trying to maintain control of big tech through regulations on algorithms. It can be seen that regulations are shifting to more detailed areas because strong regulations in the country bring side effects. Third, the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world's first Regulations means that there is not a small amount of damage to users due to algorithms in China. In fact, various surveys show that there are not a few experiences of damage to algorithms. As mentioned above, a survey shows that big data's "rip-off" experience was close to 90% of persons to be surveyed, and that they had experience in rip-off on platforms such as delivery, shopping, tourism, and shared vehic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