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방송통신위원회 유튜브 채널 홍보 담론 및 콘텐츠 이용자 반응 분석 (Big Data Analysis of Contents and User Comments on the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s YouTube Channel)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02
41P 미리보기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방송통신위원회 유튜브 채널 홍보 담론 및 콘텐츠 이용자 반응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통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소통학보 / 23권 / 1호 / 285 ~ 325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김지윤

    초록

    본 연구는 국가 행정기관으로서 다양한 홍보 사업을 진행하는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유튜브 홍보 콘텐츠와 콘텐츠 이용자 반응을 비교하여 효율적인 홍보 사업 진행을 위한 전략적 제언을 제시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방통위의 홍보 영상 제목과소개글을 분석하여 유튜브에서 형성되는 홍보 담론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자들의 댓글에서 나타나는 담론과 비교하였다. 2018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방송통신위원회’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504개의 영상과 이에 달린 8,114개의 댓글 데이터를 수집 하였으며, 이들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위 50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초 통계 분석과 키워드 빈도 및 중요도 분석을 통해 지난 5년간의 홍보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유튜브 정책 홍보 전략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빈도수 측면에서 방통위는 기관명과 기관 서비스를 중심으로 많이 언급하여 홍보하려 했지만, 콘텐츠 이용자들은 기관에 대한 관심보다는 개별 홍보 사업 주제와 해당 홍보 콘텐츠/캐릭터에 대해 더 큰 관심을 보였다. 2) 빈도수측면에서 방통위 기관명은 상대적으로 이용자 댓글에서 많이 언급되지 않았지만 댓글에 대한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 방통위 기관명은 긍정적인 감정 언어와 같은 군집을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방통위의 유튜브 홍보 활동이 기관에 대한 이용자들의인식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텍스트 마이닝과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 모두에서 지난 5년간 유튜브 이용자들로부터 가장 좋은 반응을 이끌어낸 홍보 사업은 노년층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사업으로 나타났다. 4) 스팸 방지와중고폰 보상 제도와 같은 미디어 이용자 보호 및 혜택 부여와 관련된 홍보 사업들은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에, 장애인 미디어 접근성 홍보, 미디어 관련 직업 소개, 지역 광고 활성화와 같은 사업들은 방통위의 주요 홍보 담론에는포함 되었지만 주요 이용자 담론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5) ‘할담비’, ‘팽수’, 그리고, ‘박말례 할머니’와 같이 인기 있는 기존 유튜브 캐릭터를 활용한 사업이 이용자들의 주요 담론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strategic recommendations for effective promotional activities by comparing the YouTube content and user responses of the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 (KCC), a national administrative agency. The research involved analyzing the titles and descriptions of KCC's promotional videos to understand the promotional discourse formed on YouTube and comparing it with user discourse evident in comments. Data were collected in unstructured text format, comprising 504 video titles/descriptions and 8,114 comments posted on the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 YouTube channel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2. Post data mining, the top 50 keywords in terms of frequency were extracted from each dataset and analyzed through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altion (CONCOR) analysis. The study also examin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keyword frequencies, and TF-IDF analysis to assess the promotional effectiveness of the KCC's YouTube channel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proposed strategies for more efficient YouTube policy promo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frequency and TF-IDF analysis results, while KCC focused on promoting its name and services, KCC’s YouTube channel users showed more interest in individual promotional project themes and related contents/characters. 2) Although the KCC's name was relatively less mentioned in user comments, CONC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KCC's name formed a cluster with positive emotional language, indicating that KCC's YouTube promotional activities positively contributed to user perception of the institution. 3) Text mining and CONCOR analysis both showed that promotional activities for 'Digital Literacy' aimed at the elderly elicit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from YouTube users in the past five years. 4) Promotional activities related to media user protection and benefits, such as spam prevention and used-phone compensation programs,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from YouTube users. Conversely, improving media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troducing media-realted jobs, and supporing local advertising were included in KCC's main promotional discourse but not in user discourse. 5) Utilizing popular existing YouTube characters such as 'Haldambi', 'Pengsoo', and 'Park Mal-rye Grandma' in PR contents was found to have the potential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er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3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