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바이벌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대한 시청자 감성 연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감성분석 중심으로 (A Study of Viewers’ Emotions toward the Survival Drama “Squid Game”: A Social Media Big Data Emotional Analysi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04
40P 미리보기
서바이벌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대한 시청자 감성 연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감성분석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63권 / 213 ~ 252페이지
    · 저자명 : 안명숙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감성분석을 통해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대한 시청자 감성의 세부요인과 심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편집한 원문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감성분석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추출된 1,881건의 감성요소 중 긍정적인 감성은 전체 1,347건으로 71.61 %의 빈도를 나타냈다. 부정적인 감성의 비율은 1,881 건 중 534 건으로 28.39 %의 빈도비율을 보였다. 또한 ‘오징어 게임’에 대한 수용자들의 세부감정 분석을 통해 부정 감성에서는 ‘거부감’이 가장 강도 높은 정서이고, 긍정 감성 중에서는 ‘호감’이 가장 강도 높은 정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관찰자적 입장에서 소비자 계정 SNS 텍스트를 인용하며 세부감성의 전형적인 사례를 소개함으로서 연구결과의 질적 타당도를 높였다. 연구결과 시청자 긍정 및 부정 감성의 의미로. 전통놀이 호감은 전통놀이에 투사한 퇴행 욕구로, 오징어 게임의 상징, 원방각(圓方角 ○□△) 은 정신성의 추구로 해석하였다. 또한 오징어 게임의 자본주의 디스토피아 서사에 대한 ‘호감 & 두려움’의 심리적 의미를 추론했으며, 영상매체 이데올로기 주입에 대한 거부감 및 자본주의 비극에 저항하는 목소리가 존재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Using a social media big data emotion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nd psychological meaning of viewers’ emotions toward Netflix’s original drama “Squid Game”. An emotional analysis was extracted by uploading the edited original data. As a result, out of the 1,881 emotional elements extracted, there were 1,347 positive emotions with a frequency of 71. 61%. The ratio of negative emotions was 534 out of 1,881, a frequency of 28.39%. In addition,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emotions of the inmates in the Squid Game, it was found that “rejection” was the most intense negative emotions, and “likes” was the most intense emotion among the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the qualitativ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was improved by introducing typical cases of detailed sensitivity by citing consumer account SNS text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tory observers.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meaning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viewers are as follows. They favored the traditional games as a projected desire to play traditional games, and Wonbanggak, a symbol of the squid game, was interpreted as the pursuit of spirituality, and inferred as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likes and fears” of the capitalist dystopian narrative of the squid game. This suggests that voices are resisting the tragedy of capitalism and rejecting the social media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