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환경교육의 국내외 변화추세에 대한 통시적 분석 (Historical Analysis of Global and Domestic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by Using Big Data)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09
15P 미리보기
빅데이터를 활용한 환경교육의 국내외 변화추세에 대한 통시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교육 / 32권 / 3호 / 261 ~ 275페이지
    · 저자명 : 이재영

    초록

    본 연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가 30주년을 맞아 추진한 ‘환경교육의 과거, 현재, 미래’라는 주제의 연구 공모과제의 하나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구글의 ngram과 뉴스 분석 서비스 빅카인즈 등 두 가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난 30년 동안 일어난 환경교육의 변화 추세를 국제적 및 국내적 수준에서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세계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연구의 핵심 결과는 환경교육의 역사적 변천 과정이 기존의 유기체적 관점과는 달리 상승과 하강, 수축과 팽창을 거듭하면서 변화의 굴곡이 크고 매우 역동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은 변화의 방향을 바꿔놓는 몇 개의 변곡점(결정적 사건)과 형성된 변화의 방향이 한동안 유지되는 추세선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1970년대 들어 성장하기 시작한 환경교육은 200년의 역사를 가진 과학교육의 변화추세와는 상당히 다르고, 1990년대 들어 등장한 지속가능발전교육과는 상보적인 관계가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도 1990년 이후 최소한 세 차례의 변곡점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로는 그 변곡점이 생겨난 원인에 대한 설명이나 환경교육 패러다임 등 변화의 실질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다. 다만, 앞으로 환경교육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탐구하고 해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one of the research projects under the theme “Past, Present and Futur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was celebrated by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hanges over the past 30 years at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vel using two big data such as Google's Ngram and news analysis service BIGKinds. From a global point of view,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storical pro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rganic point of view, with its ups and downs, contractions and expansions, and the curve of change being large and very dynamic. This process seems to be interpreted as several inflection points (critical events) that change the direction of change and a trendlin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formed change is retained for some time. It also suggest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began to grow in the 1970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end of change in science education, which has a history of 200 years, and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emerged in the 1990s. Domestically, it is estimated that there have been at least three inflection points since 1990.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explain the actual contents of the change, such as explaining the cause of the inflection point 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aradigm. However,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integrate and explore the historical change pro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