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범위 및 한계에 관한 법적 연구 (A Legal study on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health⋅medical big data utiliz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1.03
33P 미리보기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범위 및 한계에 관한 법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5권 / 1호 / 67 ~ 99페이지
    · 저자명 : 이준복

    초록

    빅데이터 시대 내지는 4차산업혁명 시대 등으로 거론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개인정보들 중에 가장 민감한 정보인 보건의료정보, 건강정보 등의 활용 범위 및 기준을 법리적 관점에서 설정해보고자 한다. 즉, 개인정보 중 민간정보에 속하는 보건의료정보는 타인이 알아도 문제가되지 않는 주로 개인 활동 정보인 비민감 정보와는 달리, 개인을 식별할 수있고 무분별하게 활용되거나 유출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여러 가지 피해가초래되기 때문에 정보 활용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민감정보인 보건의료정보를 어디까지, 얼만큼, 어떠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법리적 시각에서 살펴보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민감정보라고 해서 무조건 활용이 금지된다고 판단하는 것은 오히려 다른측면에서의 기본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본 연구의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여기에서 핵심적으로 다뤄질 보건의료정보에 대해서 크게상업적인 측면과 비상업적인 측면으로 구분한다. 다시 말해서 헬스케어 산업분야와 같은 상업적인 측면에서의 보건의료정보 활용의 범위와 코로나 팬데믹상황에서의 감염병 예방과 같은 비상업적인 측면에서의 보건의료정보 활용의범위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양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보건의료정보와 빅데이터와의 상관관계, 해외 입법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민감정보인 보건의료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주체의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블록체인과의 결합 가능성 및 상호운용 방안 등에 대한 모색으로이어나감으로써 결론에 이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건의료정보의 합리적인 활용의 범위 및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먼저 빅데이터 내지는 개인정보, 보건의료 정보 등과 관련된 선행 문헌을 문헌조사 방법론에 따라 분석해보고, EU 데이터거버넌스 법안의 법ㆍ제도적 현황을 살펴보는 과정에 있어서는 비교법적 고찰방법을 적용하며, 결론을 도출하는데 있어서는 귀납적 논증방식을 병행하여 체계성과 논리성을 확보하고자한다.

    영어초록

    In the era of big data we are facing currently, this study attempts to set the rangeand standards of use for the most sensitive health⋅medical information amongnumerous personal information from a legal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unlikenon-sensitive information, private health⋅medical information can identify individualsand, if used or leaked indiscriminately, cause various irreversible damages, narrowingthe scope of information utilization. If so,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processof examining the scope of use of health care information from a legal perspective.
    This is because the judgment that the use of sensitive information is prohibitedunconditionally can lead to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in other aspects. This can besaid to be the core of this study.
    The healthㆍmedical information that will be dealt with here is largely dividedinto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aspects. In other words, the research focuses onthe scope of the use for the health information in the commercial aspect such as thehealthcare industry and for the health information in the non-commercial aspect, suchas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Corona pandemic situation. In addition,in the process of using sensitive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common healthㆍmedical information and big data, and that of overseas legislation, we intend to cometo a conclusion by continuing to search for possible combinations with the blockchainand interoperability plans not to infringe on the basic rights of the subjects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scopeand standard of rational use for healthㆍmedical information as mentioned above. Tothis end, we first analyze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big data and health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EU is reviewed in a comparative way topropose methods and tasks for using health information that have secured systemicity and log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