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체정보의 형사정책적활용에 대한 고찰 (Review on use of bio information in criminology under big data environment)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5.04
23P 미리보기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체정보의 형사정책적활용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형사법연구 / 17권 / 1호 / 107 ~ 129페이지
    · 저자명 : 이원상

    초록

    현대 사회를 특징지워 주는 개념가운데 하나로 ‘정보화 사회’가 있다. 정보화 사회속에서는 우리가 정보화 기술을 선택하기 보다는 우리의 의지와 관계없이 다양한 정보화 기술들이 우리를 선택한다고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기술들이 우리에게 제공해 주는 편익을 거부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관련 기술들은 스마트시계나 스마트폰과 같이 우리가 항상 지니고 있는 정보통신 기기에 적용되어 우리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 있을 뿐 아니라 출입통제나 신원확인을 위해서도 이미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빅데이터 기술로 인해 우리는 엄청난 양의 정형화 및 비정형화 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하게 활용을 하고 있게 되었다. 그와 같은 상황에서 생체정보나 빅데이터와 같은 기술을 형사정책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의 차이점을 살펴보자면, 전자는 개인의 이익을 위해 활용되는 것에 반해 후자는 개인의 불이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을 형사정책적으로 활용함에 있어서는 인권보호와 범죄방지 사이에서 늘 긴장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형사정책적으로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체정보가 수사분야, 증거분야, 보호관찰 분야 가운데 대표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생체정보의 한계를 지울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는 생체정보의 개념범위 및 빅데이터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형사정책적 활용에서 고려해야 요소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보면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체정보를 형사정책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거나 지나친 낙관을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정보기술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현행 규범체계에 적절히 편입시켜 인권의 침해를 최소화 하며 형사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를 위해 본 논문은 형사법 영역에서의 아주 작은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관련 법령이나 정책, 실무 등을 아우르는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고자 하며, 다른 연구자들도 해당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여 정보화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이 보다 향상되고 안전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영어초록

    Information society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that represents the modern society. In today’s information intensive environmen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we do not get to choose which information technologies to use, but rather, we are chosen by them regardless of our will. It might be because we cannot ignore benefits of such technologies. For instance, smart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and smart phones that are embedded with biometrics can offer health benefits to their users and that they are currently widely used for different purposes such as identity verification and entry control. With the advancement of big data technologies, we are able to analyze a tremendous amount of structure data and unstructured data to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Under these circumstances, using big data technologies is not an option but becomes a must in the field of criminology. However, such technologies can be used in a way that brings benefits to their users, but they also can be used to harm them. As a result, when using these new types of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criminology, controversies can be raised between protection of privacy and prevention of crimes.
    Under these conditions, this paper examined how bio information is currently used in the different areas of investigation, evidence and probation from a criminological perspective. This also looked at concept and scope of bio information and concept of big data which can be used as a clue to overcoming limit of bio information and also examined important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using bio information in the area of criminology. In conclusion, we should refrain from being too optimistic or feeling vague fear about using bio information in the area of criminology. We should make a continued effort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se new types of technologies and find ways to properly reflect them into related policies in a way that can minimize human rights violations. We also should work to come up with new ways to use these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criminology.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just beginning. I will continue to do further research on related laws, policies and practices based on outcomes of this research paper. I encourage other researchers to do more research on related areas, thus,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living in the informati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형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