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 형사정책의 현안과 과제 (Criminal law and policy on Big Dat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7.08
28P 미리보기
빅데이터 형사정책의 현안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정책 / 29권 / 2호 / 33 ~ 60페이지
    · 저자명 : 김한균

    초록

    본 논문은 빅데이터의 긍정적 효과를 활용하고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법제상 규제정비, 그리고 예측적 범죄대응프로그램의 효과적 활용과 관련한 정책과 쟁점을 검토한다.
    빅데이터 기술은 사회현상과 현실세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턴을 읽어내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 줌으로써 의사결정과 정책대응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다. 하지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책결정에 활용되는 데이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신뢰가 확보되지 못한다면 그 정책의 정당성과 효과성이 보장되기 어렵다. 따라서 빅데이터가 제공하는 분석 및 예측과 의사결정을 허용하고, 또 수용하는 형사정책의 정당성과 효과성에 대한 판별의 문제가 제기된다.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둘러싼 논의들은 아직까지는 사회적 합의 필요성 제기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사회적 논의와 합의과정에 전제되어야 할 현안분석과 쟁점정리를 분명히 하는 일이 일차적 과제일 것이다.
    현실적으로 물어야 할 질문은 어떻게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 활용의 균형을 가능하게 할 것인지의 문제다. 그 균형이 잡히도록 하려면 형사법적 규제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살펴야 한다. 빅데이터 환경하에서 정보주체인 개인은 정보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이기 때문에 단순한 보호객체가 아니라 정보권리의 주체로서 지위가 더 중요하게 된다. 개인정보 이용절차와 기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법적 수단 보장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빅데이터 기술발전의 형사정책적 활용과 관련해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과 시간, 범죄유형을 분석하면 선제적 범죄예방과 경찰 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 질 것이라 기대가 있다. 다만 이는 빅데이터기반 범죄예방정책과 형사사법기관의 기술활용이 한국사회에서 어떠한 현실연관성과 장래 실익을 갖는지 신중히 논의한 이후에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검토할 사항이다. 빅데이터와 같은 새로운 기법이 범죄대응활동의 효과성이 아닌 문제해결 역량강화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경찰과 검찰에 요구되는 과제는 첨단과 스마트함보다는 인권증진이라는 현실을 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빅데이터 형사학은 규제와 금지뿐만 아니라, 사회문제의 형사정책적 대응을 위한 원칙과 수단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빅데이터를 비롯한 첨단 지능정보기술은 사회적 약자보호의 형사정책 체계에서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 보완과 투입을 돕고, 기존 제도의 빈틈을 메꾸는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studies those issues of criminal law and policy on big data-based criminal legislation and crime prevention programs, including data privacy protection and predictive policing.
    Big data technology provides new kinds of future prospective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data, and thus supports political decision and measures against social problems, including crimes. Big data-based policy, however, has its own risk or limitation if its data or algorithm does not secure its own credibility. It may results no legitimacy or effectiveness especially in criminal justice policies.
    One of the critical issues on big data in criminal justice is how to make balance between privacy protection and promoting big data-based policy. How can we secure such balance in criminal legislation and policy-making? Most of all,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of data should be both provider and user in the context of big data, a person should be a right-holder as well as an object of protection. Legal protection for such double-faced status should be measured.
    Another issue related to big data in criminal justice is predictive policing programs, especially tested in the US. It is expected that such program will contribute more effective crime prevention and efficient input of criminal justice resources. This will be seriously studi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its demands on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especially the police. Considering that the new technology of big data should be adopted as a way of problem-solving, human rights protection, esp. for the minority in Korean society will have first priority in any big data-based criminal justice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