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리와 순리’: 김용익의 개념미술과 매체의 비은폐성 (‘Rational Logic and Natural Order’: Kim Yong-Ik’s Conceptual Art and the ‘Unverborgenheit’ of the Mediu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4.06
30P 미리보기
‘논리와 순리’: 김용익의 개념미술과 매체의 비은폐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62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정은영

    초록

    1974년 <평면 오브제>를 시작으로 반세기에 걸쳐 오랜 작업을 이어온 김용익은 모더니즘의 반성적 비판을 삶으로 실천함으로써 예술과 삶을 일치시키는 개념미술을 수행해왔다. ‘논리와 순리의 일치’를 추구해 온 그의 개념미술에서 모더니즘 비판과 제도비판, 현실비판과 문명비판은 ‘감추기와 드러내기’가 공존하는 ‘비은폐적’ 매체를 통해 가시화된다. 본 연구는 김용익의 개념미술의 요체가 그의 반성적 비판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매체의 ‘비은폐성’에 있다고 보고, 그 형식적인 양상과 비판적인 함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매체의 ‘비은폐성’은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가 대지의 ‘은폐’와 세계의 ‘개진’을 동시에 품고 있는 예술작품에서 진리가 발현하는 방식을 설명하면서 썼던 용어인데, 실제로 김용익은 1970년대 중반에 자신의 천 작업이 지닌 회화적 평면과 물질적 오브제의 특성을 ‘은폐와 개진’의 개념을 들여와 탐구한 바 있다. 김용익의 개념미술에 나타나는 매체의 ‘비은폐적’ 양상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그의 작업을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김용익의 저술을 중심으로 모더니즘 미술에 대한 논리적, 개념적 탐구가 제도비판에서 문명비판으로 확장되는 반성적 비판의 영역을 살펴보았고, 이어 그의 작품을 중심으로 천과 벽, 상자와 관, 글씨와 얼룩이 지니는 매체의 ‘비은폐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논리와 순리’, ‘미학과 정치학’을 일치시키려는 김용익의 개념미술이 ‘감추기와 드러내기’가 역설적인 공존 속에서 삶과 예술의 물질적, 제도적, 존재론적 조건을 가시화하는 ‘비은폐적’ 작업임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Kim Yong-Ik, whose artistic journey spans over half a century starting with his Plane Object in 1974, has practiced a reflective criticism of modernism in his conceptual art epitomized by the ‘coincidence of rational logic and natural order’. Kim has expanded his critical aesthetics towards art institutions, contemporary society, and modern civilization, through his ‘un-concealed’ mediums where ‘concealment and revealing’ coexist. Considering the ‘un-concealment’ of the medium as the quintessence of Kim’s conceptual ar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implications of his ‘un-concealed’ mediums in lieu of his endeavor to integrate rational logic and natural order. The ‘un-concealment (Unvergorgenheit),’ according to Martin Heidegger, refers to the way in which truth manifests itself in a work of art; it simultaneously embodies the ‘self-concealment’ of the earth and the ‘revealing’ of the world. Notably, in the mid-1970s, Kim Yong-Ik embarked on an exploration of the paradoxical coexistence of ‘concealment and revealing,’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materiality of his painting, and it remain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his art.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Kim’s writings and artworks, I illuminate how Kim’s conceptual art discloses the ontological conditions of art and life by his ‘un-concealed’ mediu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