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집단 내 개인의 비유사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비유사성 유형에 따른 차별적 효과와 과업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Is Dissimilarity Always Detrimental? A Meta-Analytic Test of the Effects of Relational Demography on Job Performa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6.08
32P 미리보기
집단 내 개인의 비유사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비유사성 유형에 따른 차별적 효과와 과업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사조직연구 / 24권 / 3호 / 69 ~ 100페이지
    · 저자명 : 유이정, 노현탁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내 비유사성과 개인의 직무성과 간 불명확한 관계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유사성의 유형을 나누고(사회범주 비유사성, 정보 비유사성) 각 유형의 비유사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동안 간과되어온 비유사성의 긍정적 영향력에 대한 설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비유사성과 직무성과 간 관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과업특성(상호의존성, 불확실성, 자율성)이 어떻게 비유사성과 직무성과 간 관계를 조절(강화 또는 약화)하는지도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 1984년부터 2016년 1월 사이 출간된 연구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0개의 실증연구(141개의 효과크기)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범주 비유사성은 직무성과에 부정적 영향(r=-.01, p<.01)을, 정보 비유사성은 긍정적 영향(r=.04, p<.001)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업특성이 갖는 조절효과는 비유사성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정보 비유사성의 경우 상호의존적이거나 불확실성이 큰 과업상황에서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약화된 반면(과업 상호의존성: β=-.00, p<.001; 과업 불확실성: β=-.02, p<.001), 과업자율성이 큰 상황에서는 긍정적 연계성이 강화되었다(β=.01, p<.01). 이와 달리 과업특성은 사회범주 비유사성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집단 내 비유사성의 혼재된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 가능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을 것이고, 기업의 인력관리 측면에서 실무적인 시사점 또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Relational demography research remains unclear as to what extent, and as to when and how, workforce diversity at the relational level (i.e., dissimilarity) affects work-related outcomes at the individual level (Riordan, 2000).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important as they may complement our understanding on how to manage diverse employees in organization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mixed and inco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demography and individual job performance. We extend existing research in the following ways. First, we distinguished the types of dissimilarity (social category dissimilarity, informational dissimilarity) and predicted differential effects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ask characteristics (i.e., interdependence, uncertainty, autonomy) moderate these relationship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performed a meta-analysis using 141 effect sizes from 40 studies conducted during 1984-2016.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ategory dissimilar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while informational dissimilarity was positively related.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e positive effects of informational dissimilarity became stronger when one’s task is autonomous. Contrary to our hypotheses, however, the positive effects of informational dissimilarity became weaker when one’s task is interdependent or uncertain. The effects of social category dissimilarity on job performance were always negative regardless of task characteristic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사조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