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좀비 서사’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Zombie Narrative’ in Modern Korean Novel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1.06
26P 미리보기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좀비 서사’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7권 / 2호 / 79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소륜

    초록

    오늘날 대중문화 속에서 적극적으로 소비되는 콘텐츠로는 단연 ‘좀비 서사’를 들 수 있다. 어느새 ‘좀비’는 한국 사회의 특수성과 맞물려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드러내는 독특한 캐릭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한국 현대소설 안에서는 좀비물이 적극적으로 서사화된 경우가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본 논문은 현대소설 내에서 좀처럼 등장하지 않던 ‘좀비’의 존재를 주목하고, 대중문화 속에서 폭발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좀비 서사’에 관한 문학적 가치를 조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론에서는 좀비가 주는 공포를 ‘알 수 없음’의 문제와 연결해서 좀비라는 존재에 대한 ‘무지(無知)’가 주는 공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좀비가 지닌 ‘사유(思惟)’의 ‘부재(不在)’를 한나 아렌트가 제기한 ‘악의 평범성’ 개념과 연결하여 ‘무지(無智)’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소설에 그려진 좀비와 인간 사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좀비로부터 살아남은 인간들 사이의 연대를 넘어서서, 인간과 좀비 사이의 연대에 관한 탐색이라고 볼 수 있다. 쫓는 자와 쫓기는 자, 포획하는 자와 포획당하는 자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관계에 대한 조명으로, 이는 현대인의 도식화된 이분법적 사고에 균열을 가한다는 점에서 좀비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국내 현대 소설에서 좀처럼 등장하지 않던 ‘좀비’의 존재를 탐구함으로써, ‘좀비’에 관한 문학적 가치를 조명하고, 나아가 새로운 서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더불어 주로 영상물 위주로 진행되어온 기존의 ‘좀비 서사’ 연구의 외연을 확장한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tent that is actively consumed in popular culture today is definitely the ‘Zombie Narrative’. ‘Zombie’ is soon positioned as a unique character that reveals the times in which we live in conjunction with the uniqueness of Korean society. Zombies, however, are rarely narrated in traditional Korean modern novels though science-fiction novels constructively deal with them. This paper focuses on the existence of ‘zombie’, which seldom appears in modern novels. The paper also aims to illuminate the literary value of the ‘zombie narrative’ that is explosively consumed in modern society.
    In the main part, I talk about the horrors of ‘ignorance’ appearing in the existence of zombies in relation to those of the problem concerning “unknown”. As one of the crucial characteristics of the zombies, moreover, the “absence” of the “thinking” was considered in terms of “ignoranc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Banality of evil” raised by Hannah Arendt. This paper also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a new solidarity between zombies and humans depicted in novels.
    This possibility can be seen as a search for solidarity between humans and zombies, beyond the solidarity between humans who survived from zombies. The paper enlightens a new relationship between a captor and a captive that dichotomous scale impossibly explains and presents a possible new story.
    As discussed above, as this study searches for the existence of ‘zombies’ that seldom appear in contemporary Korean novels, it clearly signifies the literary value of ‘zombies’ and further possible narratives concerning ‘zombies’. Furthermore, this study appreciates the extension of the existing ‘zombie narrative’ researches, which has been mainly focused on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