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春川 淸平寺 藏經碑 復元을 위한 基礎資料 檢討 (A study on the Recovery of Jangkyeongbi at Cheongpyeong-sa, Chunch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07.06
25P 미리보기
春川 淸平寺 藏經碑 復元을 위한 基礎資料 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27호 / 705 ~ 729페이지
    · 저자명 : 홍성익

    초록

    춘천 청평사의 中庭에는 東-西로 2기의 비석이 건립되어 있었는데 한국 불교사와 서예사 연구에 중요한 비문으로 자주 인용되어 왔다.
    1기는 1130년에 金富轍이 짓고 坦然이 쓴 「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이고, 1기는 1327년에 李齊賢이 짓고 李嵒이 쓴 「文殊寺藏經碑」이다. 문수원기는 현재 복원이 진행 중에 있으나 장경비는 조선후기 순조년간에 破碑가 된 이후 탁본 일부만이 세상에 알려져 있을 뿐 碑片조차 전하지 않는다. 문수원기는 이자현의 행적과 청평사의 寺歷에 관한 기록으로서 탄연의 眞蹟이면서도 고려시대의 居士佛敎, 楞嚴經, 看話禪, 崛山山門 등 불교사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담고 있는 비문이다. 그러나 장경비는 조맹부의 송설체를 이어받아 이암이 쓴 비문으로 유일한 진적이라는 점이 강조된 나머지 장경비의 역사성에 대한 연구성과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장경비의 원문교감이나 비문이 갖은 역사성과 나아가 복원에 관련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그간 검토되지 않은 문헌과 탁본에 대한 교감 역주를 시도하고 확인된 탁본을 바탕으로 복원이 가능한 부분까지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장경비가 갖는 역사성이 書藝史 외에도 元나라에서 보내온 大藏經과 재정적인 후원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건립된 비문이므로 청평사가 갖는 고려 왕권 및 원과의 국제관계, 원과 불교 교류관계, 금강산의 표훈사와 장안사 등에 건립되는 유사한 비문과의 관계 등이 연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수합되어 원위치에 복원이 진행되고 있는 문수원기와 더불어 장경비도 함께 복원되기를 希求한다.

    영어초록

    Two stone monuments were erected east and west at center yard of Cheongpyeong-sa(淸平寺), Chunchon to be quoted important inscription i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In 1130, the one stone monument of JinrakgongjungsuCheongpyeongsanmunsuwonki was written by Kim Bu-cheol and was calligraphed by Tanyeon. In 1327, the other stone monument of Munsusajangkyeongbi was written by Lee Jae-hyeon and was calligraphed by Lee Am. Munsuwonki is now under recovery, while Jangkyeongbi discloses a part of rubbed copy to the world after being destroyed in the era of King Sunjo in late Chosun Dynasty not to hand down even fragment of the stone monument. Musuwonki recorded not only Lee Ja-hyeon's life but also Cheongpyeong-sa's history to be calligraphed by Tanyeon who was widely known to be one of Shinpumsahyeon and to include rich material of the Buddhism history such as Geosabulkyo, Neungeomkyeong, Kanhwaseon and Kulsansanmun, etc in the middle of the Koryo Kingdom.
    Jangkyeongbi, however, could not draw attention except for the calligraphy of Lee Am who inherited Songseolchae of Cho Maeng-bu, and it was not researched actively. Therefore, researchers did not research Wonmunkyokam, translation with notes and recovery, etc of Jangkyeongbi.
    This study investigated and translated literature as well as original text of rubbed copy that was not examined, and it researched recoverable area based on rubbed copy that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tudy, Jangkyeongbi has historical value of the Korean calligraphy that it was erected to thank Won Dynasty for Daejangkyeong and financial support: Therefore, Jangkyeongbi may help research relations between the Koryo Kingdom's royal power and Won Dynasty, exchange of the Buddhism with Won Dynasty and similar inscriptions of stone monuments that were erected at Pyohun-sa and Jangan-sa of Keumkangsan.
    The author sincerely hopes that more material would be collected in the future to help erect a stone monument recovering Jangkyeongbi at original place as Munsuwonki d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