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래드포드의 퍼즐과 비인지주의 감정 이론의 전망 (The Radford’s Puzzle and the Prospect of Noncognitive Theories of Emo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8.02
38P 미리보기
래드포드의 퍼즐과 비인지주의 감정 이론의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5권 / 1호 / 529 ~ 566페이지
    · 저자명 : 최근홍

    초록

    이 논문에서 나는 허구에 대한 감정 반응과 관련된 래드포드의 퍼즐에서 래드포드가 제기한 진정한 물음이 인과적 물음이라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 퍼즐에 대해 감정 비인지주의의 접근이 갖는 전망을 탐색한다. 김세화는 래드포드가 제기한 물음을 개념적인 것으로해석한 월튼의 해결책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지적하고, 래드포드의 진정한 물음은 인과적 물음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김세화는 감정에 대한인지주의를 수정한 이론을 제안하면서, 이것이 인과적 물음에 대한 답변이 개념적 물음에 대한 답변을 뒷받침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것으로 이해한다. 나는 래드포드가 인과적 물음을 제기하고 있으며 그것이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는 김세화의 통찰에 동의하지만, 월튼에 대한 김세화의 반론은 ‘인과적 물음’이라는 표현을 애매하게 사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나는 인과적 물음과 개념적 물음이 김세화의 주장만큼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고 여기지 않으며, 따라서 김세화의 수정된 제안이 그러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다고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래드포드의 퍼즐에 대해 감정 비인지주의의 접근을 차단하는 근거로 인지주의자들이 제시하는 감정의 개별화, 합리성, 지향성 등의 문제는 최근의 발전된 비인지주의 이론을 고려할때 더 이상 설득력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특히, 나는 프린츠의 체화된 평가 이론을 그 사례로 소개하고, 비인지주의 이론을 통해 허구에대한 감정 반응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가지는 전망을 검토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claim that Colin Radford’s real question in the Radford’s puzzle concerning our emotional response to fiction is the causal one, and investigate the prospect of an approach to this puzzle, which adopts a noncognitive theory of emotion. SeaHwa Kim has pointed out that Kendall Walton’s account, which treats the puzzle as the conceptual one, is not a satisfactory solution to it, and argued that the real question is the causal one. She has also claimed that the causal ques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ual one, and suggested a revision to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while construing this as showing, that the answer to the causal question can support the answer to the conceptual question. While finding her insight of great significance that Radford’s question is fundamentally the causal one, I demonstrate that Kim’s objection to Walton’s solution makes a fallacy of ambiguity by using the term ‘the causal question’ ambiguously. Furthermore, I do not think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causal question and the conceptual question is as close as Kim regards it to be, and thereby argue that her revisionary suggestion does not show what it is supposed to do. Finally, considering the recent development of noncognitive theories of emotion, I think that the reasons the cognitivists give for blocking the noncognitive approach to the Radford’s puzzle, which include the problems of the individuation, rationality and intentionality of emotions, are not so much compelling any longer. In particular, I introduce as a good example Jesse Prinz’s theory of emotion, namely, the embodied appraisal theory, and evaluate the prospect of an attempt to understand our emotional response to fiction in terms of his noncognitive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