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사택지적비의 연구사와 사상경향 (History of research and Thought-tendency of Sataegjijeogbi of Baekj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1.08
21P 미리보기
백제 사택지적비의 연구사와 사상경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45호 / 129 ~ 149페이지
    · 저자명 : 조경철

    초록

    사택지적비는 1948년 충청남도 부여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사택지적비에 대한 연구는 1954년 홍사준이 논문을 발표한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동안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사택지적비를 도교적 입장에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은 1954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사를 검토한 결과 홍사준의 논문을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덧붙여 1937년 시라토리(白鳥庫吉)의 논문에 나오는 음양설을 홍사준의 논문에서 일부 잘못 인용하였는데 이것을 후대 연구자가 시라토리의 논문에서 직접 확인하지 않아 확정되었다. 또한 사택지적비를 불교의 입장에서 언급한 정경희의 1988년 논문이 주목받지 못한 것도 오해를 키웠다.
    보통 백제 귀족의 사상적 경향은 유교, 불교, 도교가 어우러져 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하여 구체적인 유물에 항상 유불도를 동시에 적용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사택지적비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유불도의 측면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하는 선입견이 작용한 듯하다. 사택지적 개인의 사상경향이 유불도를 모두 갖추었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절과 탑을 지으면서 만든 사택지적비에 뚜렷한 근거 없이 도교나 유교를 무리하게 적용시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Sataegjijeogbi(砂宅智積碑) was discovered in Buyeo, Chungcheongnamdo Province. After Hong sajun presented his research on the paper about the Sataegjijeogbi, many studies on it has been progressed steadily until now. Even thought there were many discussions regarding the stele, so far it has been interpreted on the view of Taoism. However this view dated from misunderstanding Hong’s paper. And after Hong misquoted eum-yang(陰陽) theory which was in Siratory’s paper written in 1937. This theory was settled without double-checking the content of Siratory’s paper. Jeon Ggyeonghui’s paper on the view of Buddhism was not recognized, either.
    In generally the tendency of thoughts of Baeak’s aristocrat is known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put together. Nonetheless mixing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annot be applied at all times. Even if Sataegjijeog himself was equipped with sufficient knowledge of the three thoughts, Sataegjijeogbi which was erected to celebrate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sanctum and Stupa must not be applied along with the thoughts of Taoism or Confucianism without a positive pro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