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상과 비일상의 지도에서 길 찾기 —오정희론— (Finding a road on a map of everyday lives and non-everyday lives —Theory on Oh Jung-he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08.10
29P 미리보기
일상과 비일상의 지도에서 길 찾기 —오정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25호 / 437 ~ 465페이지
    · 저자명 : 조회경

    초록

    1968년 「완구점 여인」으로 등단한 오정희 작품 세계의 바탕에는 일상과 비일상에 대한 강박적 대립의식이 흐르고 있다.
    본고에서는 출산 후 첫 발표작인 「꿈꾸는 새」이후 「옛 우물」에 이르기까지 작가의식의 뚜렷한 변모를 드러내는 작품을 대상으로, 일상과 비일상이 조화를 이루어 여성적 삶의 참뜻에 도달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꿈꾸는 새」, 「비어있는 들」, 「별사」의 주인공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향한 갈망의 끈을 놓치지 않으려는 ‘안간힘’과 남편, 아이가 존재하는 일상의 질서에 순응하려는 욕구의 팽팽한 대립을 거쳐, 일상의 틈에 스며드는 죽음의 기미를 두려워하기 시작한다.
    「별사」의 주인공은 삶과 죽음의 공존을 승인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일상의 생명성을 발견한다. 그러나 여전히 남편과의 격절감이 비일상에 대한 환상으로, 환상 속에서 불안을 키우는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2년간 미국 체류 후 발표한 「파로호」에서 오정희는 눈에 띄는 변모를 보여준다. 주인공은 ‘생활’을 알지 못하는 남편을 통해 비일상의 허위를 통찰한다. 그와 더불어 생활 안에서 생활 아닌 것을 갖고자 했던 안간힘이란 거짓된 자기연민에 불과함을 깨닫고 비루한 삶에서 단호하게 돌아선다. ‘고양이 죽이기’는 오정희의 ‘제2의 자기 성장의 시련기’가 끝났음을 상징한다. 주인공 혜순이 ‘홀로서기’에 성공하고 새롭게 성찰하는 것은 일상의 생명력이다.
    그 후 5년 만에 발표한 작품 「옛 우물」에서 오정희는 시간의 지배에서 한 치도 벗어날 수 없는 인간 조건 속에서 잉태와 출산이라는 신비한 생명현상의 주역을 맡아온 여성 삶에 내재한 비의성을 집요하게 통찰한다. ‘자기만의 방’에서 「옛 우물」의 주인공은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명 현상 이면을 투시하여 삶의 비의를 포착할 수 있는 눈을 키움으로써 우주의 산파로 새롭게 태어나며, 죽음과 생명을 대긍정하는 생명주의자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영어초록

    Oh Jung-hee presented a confrontation between everyday lives and non-everyday lives in her works since she debuted in 1968 with “The Toyshop Woman.”
    This paper looked into several novels that presented clear transitions in Oh’s awareness as a novelist from “A Dreaming Bird,” her first work after having a baby, to “The Old Well,” in order to see how life and literature formed harmony and reached a secret, hidden meaning of a life of a woman.
    Heroines in “A Dreaming Bird”, “An Empty Field” and “Parting Words” are the same characters. On one hand, they try so hard not to lose the thread of desire into the invisible world. On the other hand, they have a desire to accept to the order of their everyday lives with their husbands and children. They suffer a keen confrontation between these two desires, and start to fear signs of death that soak into cracks of daily lives.
    The heroine of “Parting Words” breaks free from her locked-up self-awareness to a certain extent and tries to approve the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In this process, the heroine discovers a new meaning of everyday lives. The problem is in a vicious circle where her feeling of isolation from her husband forms a fantasy and that fantasy leads to anxiety. As long as the heroine is confined in such a fantasy, she can never face up to the reality and succeed to stand on her own two feet.
    In “The Lake Paro”, which Oh published after two-year visit to the United States, the novelist presented an eye-catching change. The heroine in this novel penetrates into the falsehood of non-everyday lives, through her husband who does not understand ‘life.’ Then the heroine realizes that it was only a false self-pity to try hard to achieve something that is not related to life in her life, and she flatly turns away from a false, self-deceiving life. “Killing a Cat”, meanwhile, is a signal that the “second period of tough coming-of-age” of the novelist is over. The heroine, Hye-soon, succeeds to stand on her two feet and makes new self-reflections, and this is the vital power of everyday lives.
    In “The Old Well”, which Oh published five years later, Oh makes tenacious and obsessive reflections on the secret meaning hidden inside lives of women, who served the main roles in mysterious life phenomena regarding pregnancy and childbirth in human conditions that can never be free from the control of time. In a “room of one’s own”, the heroine of “The Old Well” sees through the other side of all the life phenomena that happen in everyday lives, and earns the eye to capture the secret, hidden meaning of living. By doing so, the heroine is reborn as a midwife of the universe. At the same time, she rises to the rank of believers of life, who affirms both life and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