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농업인의 농지소유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Ownership of Agricultural Land by a non-farming pers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8.06
25P 미리보기
비농업인의 농지소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9권 / 2호 / 235 ~ 259페이지
    · 저자명 : 사동천

    초록

    식량안보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 중의 하나이고,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포기할 수 없는 것이다. 농지는 식량안보를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농산물의 생산수단이다. 농지의 보존은 일정 규모의 농지규모가 확보된다는 것으로 족한 것이 아니라 농업생산요소로서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농지는 농산물의 생산이라는 생태적 측면에서 적합해야 할 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농지처럼 저렴한 가격을 유지함으로써 농업생산에 투입되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농지법 제3조에 “농지는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소유·이용되어야 하며, 투기의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지법 제6조 제2항에 농업인의 농지소유에 대한 예외를 방대하게 인정함으로써 법률에 의한 헌법 제121조 제1항 및 농지법 제6조 제1항의 경자유전의 원칙을 파괴하고 있다. 상당수 헌법 문헌에는 법률에 의하여 헌법을 파괴하고 있는 현상을 무시하고, 나타난 결과만을 두고 경자유전의 원칙이 사실상 폐기된 것이라는 이유를 들면서 경자유전의 원칙을 폐기하자는 주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세계 최초로 경자유전의 원칙을 폐기한 대만의 경우를 살펴본다면 이러한 주장들은 설득력이 없다.
    경자유전의 원칙을 해치는 경우는 특히 비농업 상속인, 이농자, 농업회사법인 등의 농지소유와 주말농장용으로 과도하게 허용하는 규정을 들 수 있다. 특히 근래 비농업인이 사실상 농지를 소유할 수 있도록 농업회사법인의 요건을 완화함으로써 농업회사법인을 통한 농지전용이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다. 헌법상 토지공개념과 결부하여 궁극적으로는 경자유전의 원칙이 달성될 수 있도록 비농업인 소유의 농지를 처분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지만, 급격한 정책변화로서 초래될 수 있는 혼란을 막기 위하여 우선 세금, 차임상한, 장기임대차 기간보장, 직불금의 확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나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Food security is one of the country's important policies and cannot be abandoned at any cost. Farmland is a means of producing agricultural products that are essential to achieving food security. Conservation of farmland should not be limited to securing a certain scale of farmland, but it should be able to function as an agricultural production element. Farmland should not only be suitable for the ecological aspect of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but also be able to generate profits by being put into agricultural production by maintaining low prices like French farmland. In this respect, Article 3 of the Agricultural Land Act declares that "farmland should be owned and us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not subject to speculation."Nevertheless, Article 6, Paragraph 2 of the Farmland Act, violates Article 121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rticle 11 (1) of the Farmland Act by broadly acknowledging the exceptions for the farmers’ possessions of the farmland. Many of the constitutional documents ignore the phenomenon of destroying the Constitution by law and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land to the tiller should be dismiss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land to the filler is virtually abolished only by the result. These claims are not convincing if we look at the case of Taiwan, the world's first to discard the principle of land to the tiller.
    Some particular cases of harming the principle of livelihoods are the case of the possession of agricultural land by heirs who are non-farmers, immigrant workers,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excessively acknowledging the possession for the purpose of weekend farm.
    Especially in recent years, farmland is being widely used by agricultural corporations by easing the requirements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so that non - farmers can actually own farmland. The Constitu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ublic domain of land, should be able to practice dispose of farmland owned by non-farmers so that the principle of land to the tiller can ultimately be achieved, but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caused by rapid policy change, we expect to be able to accomplish the desired purpose indirectly through the expansion of taxes, maximum limitation of the rent, and subsi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