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예학적 관점으로 본 <集安高句麗碑>의 건립 시기 (The Establishment Date of ‘Jipangoguryeo bi’ Shown by the Calligraphic Point of View)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3.12
30P 미리보기
서예학적 관점으로 본 &lt;集安高句麗碑&gt;의 건립 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56호 / 297 ~ 326페이지
    · 저자명 : 정현숙

    초록

    본고는 서예학적 측면에서 <集安高句麗碑>의 글씨 분석을 통해 건비 시기를 논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에 중국의 耿鐵華는 건비 시기를 광개토왕(재위 391-412)대로 보았고, 한국 연구자들도 대부분 광개토왕대로 보아 ‘高句麗 最古碑’임을 주장했다. 특히 윤용구와 여호규는 7행 4-8자를 ‘好太聖王曰’로 읽어 광개토왕이 건립한 비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의 張福有와 孫仁杰, 한국의 선주선은 그것을 각각 ‘丁卯歲刊石’, ‘丁卯年刊石’으로 읽어 건비년을 427년으로 보고 장수왕이 재위 15년에 아버지 광개토왕을 위해서 건립한 비라고 주장했다.
    ‘丁卯’설을 뒷받침해주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다. 첫째, 書體이다. 비문은 파책이 비교적 선명한 예서로 쓰였고 해서의 필법도 보여 예서에서 해서로의 과도기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데, 이로 인해 파책이 없거나 약한 古隸인 <광개토왕비>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비의 형태다. 圭形의 碑首가 자연석인 <광개토왕비>보다 진일보되어 그 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셋째, 文體다. 비의 문체가 <광개토왕비>보다 더 세련되어 그 후에 세워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date of ‘Jipangoguryeo bi’ by the comparison of character’s composition. Geng Tiehua, a Chinese scholar, insisted it as a stele of Gwanggaetowang period. Most of Korean scholars followed Geng’s argument. Yun Yonggu and Yeo Hogu read the characters in the seventh column as “好太聖王曰” and insisted that Gwanggaetowang built it. Meanwhile, Zhang Fuyou and Sun Renjie, Chinese scholars, read them as “丁卯歲刊石”, and Sun Joosun, a Korean scholar, “丁卯年刊石”, meaning that it was built in 427, 15th year of Jangsuwang.
    In addition, Sun Joosun, Cho Soohyun, and I stated that it was written in the clerical script with wavy strokes and therefore built after ‘Gwanggaetowang bi’ with little wavy strokes. Kwon Inhan also insisted that the sentence was more sophisticated, compared to that of ‘Gwanggaetowang bi’, and accordingly it could be build after ‘Gwanggaetowang bi’. Its shape with a triangular head was also developed when compared to that of ‘Gwanggaetowang bi’ in natural st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