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가, 재가, 그리고 비승비속(非僧非俗)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나무아미타불』 제17장을 중심으로- (Monk, Layman, and Neither Monk Nor Layman -Focusing on Chapter 17 of Yanagi Muneyoshi’s NAMU-AMIDABUTSU-)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7.08
37P 미리보기
출가, 재가, 그리고 비승비속(非僧非俗)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나무아미타불』 제17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47호 / 251 ~ 287페이지
    · 저자명 : 김호성

    초록

    불교교단은 출가와 재가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한 출가자는 어떠해야 하며, 또 바람직한 재가자는 어떠해야 할 것인가? 이를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저서 『나무아미타불』 제17장에서 다루고 있는 일본 정토불교의 세 분 조사의 삶을 참고로 하여 다시금 논의하였다.
    출가의 모범은 붓다의 법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모범적 사례를 우리는 일본 정토종의 개조 호넨(法然)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민중들에게 염불을 널리 권하면서도 계율을 굳건히 지켰다.
    그렇지만, 계율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 승려의 행위를 다 했다고 만족할 수 없었던 경우도 있다. 집을 떠난 것이 승려이지만, 절마저 버리고 모든 것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했던 경우이다. 바로 시종(時宗)의 개조 잇펜(一遍)이 그렇다. 집도 버리고 절도 버리고서, 민중들에게 널리 염불을 권하기 위하여 유행(遊行)을 했다. 이는 승려의 기준을 더욱 더 높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내가 그를 ‘초승(超僧)’이라 부른 까닭이다.
    한편, 재가의 경우에는 애당초 출가였다가 파계를 통하여 비승이 됨으로써 재가로 편입된 경우도 있다. 이는 비승비속이라 할 수 있는데, 정토진종의 개조 신란(親鸞)이 그러했다. 그는 스스로 비승비속이라는 자각을 깊이 하였다. 그러면서 비승비속 역시 구원받을 수 있는 길을 찾아갔다. 이러한 비승비속에 대하여, 가네코 다이에이(金子大榮)는 비승이기에 더욱더 비속이어야 했다고 해석한 바 있다.
    내면적으로 비속이기만 하다면 외형적으로 승이든지 아니면 비승이든지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내면을 기준으로 한 평가이지만, 재가자에게는 비승이라고 해서 모든 책임으로부터 면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일깨우고 있는 것이 아닐까. 잇펜이 말하듯이, 어떤 의미에서는 재가야말로, 즉 비승이면서도 비속이어야 하는 것이야말로 상근기(上根機)라야만 감당할 수 있는 난행(難行)인지도 모른다. 신란이 바로 그러한 난행의 길을 걸었는데, 우리 재가자 앞에 놓여있는 길 역시 바로 그것이 아닌가.

    영어초록

    The Buddhist order is comprised of Renunciation and Laybuddhism. How should the appropriate Buddhist monks be like and the appropriate lay believers be like? I have discussed again by referring to the lives of the three patriarchs in the Japanese Pure Land Buddhism addressed in Chapter 17 of NAMU-AMIDABUTSU(南無阿弥陀仏) by Yanagi Muneyoshi(柳宗悅1889-1961).
    The example of renunciation is living by the Dharma of Buddha. The founder of the Japanese Pure Land Buddhism(淨土宗), Honen法然is an excellent example. He widely recommended the Buddhist chanting to the public and faithfully followed the precepts.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when the duties as a monk were not fully satisfied by merely abiding by the religious precepts.
    That is the case when a monk merely left home but thought to himself that he has to abandon everything including even the temple.
    The founder of Shijong(時宗), Ippen(一遍1239-1290) was such a case.He visited various places to widely recommend Buddhist chanting to the public after abandoning his home and even the temple. This can be seen as enhancing the standard of monks. This is why I call him 'Transcendent monk(超僧)'.
    Meanwhile, in the case of Layman, who first renounced the secular lives transferred to Layman after becoming a non-monk through the transgression. This is Neither Monk Nor Layman(非僧非俗). The founder of Japanese Shin Buddhism(浄土真宗), Shinran(新鸞1173-1262) fits in definition. He deeply thought that he is a neither monk nor layman. In that process, Shinran explored the way for Neither Monk Nor Layman to be also saved. With regard to Neither Monk Nor Layman, Kaneko Daiei(金子大榮) interpreted that who is already not a monk, should also not be a layman.
    This means that the outside can be irrelevant whether it is monk or not when the inside is non layman. This perspective is the assessment based on the inside. It points out that non monks are not just set free from their obligations As Ippen has stated, in a sense, layman, who is not a monk has to be not a layman, can be managed asceticism only being an superior faculties processing superior religious faith and insight. Shinran took the path of difficult practices. So do lay believerstake the path of difficult practices like Shinr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