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非의 上古 관념과 이상적 君主像 (Hanfei's Notion of the Ancient Age and Ideal Image of the Monarc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韓非의 上古 관념과 이상적 君主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89호 / 485 ~ 514페이지
    · 저자명 : 윤무학

    초록

    본문에서는 먼저 제자백가의 上古 관념과 거기에 반영된 군주상을 개괄하고, 『한비자』에 제시된 이상적 군주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자백가는 공통적으로 상고 관념을 서술하는 가운데 역사의 주체로서 “聖人”, “先王”, “聖王” 등의 용어가 등장한다. 한비는 고대의 선왕을 무조건적으로 높히거나 비판하지 않고 사례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였다. 특히 부모와 자식, 그리고 군주와 신하의 관계에서는 선왕을 비판하면서도 이른바 법가의 法⋅術⋅勢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옹호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비의 이상적 군주상은 당시 중앙집권화에 몰두하던 각국 제후들의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한비의 이상적 군주상의 명칭은 비록 다양하지만 결국 법치에 기반하여 상벌을 시행하고, 권세를 기반으로 술수로써 신하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변법을 진행하는 각국의 군주를 전제로 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그들을 독려하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한비의 이른바 “새로운 성인”은 새롭게 출현하는 성인이 아니라 당시 현실에 맞게 자신이 설계한 법⋅술⋅세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법치 이념을 실천하는 군주상이다.
    한편으로 한비가 제시한 이상적 군주상은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첫째, 한비가 무조건적으로 군주를 높이고 신하를 낮추어 법치의 대리인으로서 직분을 고정한 것은 명확한 군권지상주의이다. 이것은 선진 제자백가의 民本 관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둘째, 군주와 신하 관계와 같은 방식으로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의 관계도 상하로 고정하여 정치적 안정의 필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이것은 선진 유가의 상호 윤리를 전도시킨 것이며 漢代 이후 三綱 윤리의 근원이 되었다. 따라서 이상은 모두 당시 통일 전야의 급박한 중앙집권의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법가의 시대적 한계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영어초록

    In the main text, first, the Hundred schools' concept of ancient age and the image of a monarch reflected therein were outl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presented in 『Hanfeizi』 were derived. In the Hundred schools, terms such as “the Sage”(聖人) and “the Former King”(先王) and the Holy King(聖王)” appear as the subject of history while describing the concept of antiquity in common. Hanfei did not unconditionally elevate or criticize the ancient the Holy King(聖王), but evaluated 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se. In particular,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Former King(先王) was critici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monarch and subjects, but rather defended in terms of so-called Fa(法), Shu(術), and Power(勢).
    Hanbi's ideal image of a monarch reflected the interest of Feudal Lords, who were immersed in centralization at the time. In other words, although the names of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in Hanbi vary, in the end, ShangFa(賞罰) is implemented based on Fazhi(法治), and ShuShu(術數) is used to control subjects based on Power(權勢). Therefore, this was premised on the monarchs of each country who were conducting Bianfa(變法) at the time, and on the other hand, had the meaning of encouraging them. Therefore, the so-called "new Sage" of Han Fei is not a newly emerging Sage, but a monarch who practices the rule of law ideology organically combined with Fa(法), Shu(術), and Power(勢) designed by himself to fit the reality at the time.
    On the one hand,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has certain limitations. First, the fact that Hanbi unconditionally exalted the monarch and lowered the vassal to fix his position as an agent of the rule of law is a clear principle of supremacy of military authority. This is in direct contrast to the MinBen(民本) idea of ​​advanced he Hundred school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husband and wife was fixed up and down in the same wa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subject, and was set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political stability. This reversed the mutual ethics of advanced Confucianism and became the source of the Sangang ethics of Han dynasty. All of the above came from the urgent need for centralization on the eve of unification at the time, but at the same time, it cannot but be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s of the era of the legal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