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非行非坐三昧의 修行法에 관한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Asceticism Practice of ‘Bi-hang-bi-joa-sam-ma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07.08
32P 미리보기
非行非坐三昧의 修行法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17호 / 205 ~ 236페이지
    · 저자명 : 김종두

    초록

    지의는 혜사선사에게서 전해 받은 철저한 禪 수행과 법화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불교 전체를 종합적으로 체계화하였다. 그것은 止觀이란 두 글자로 요약되며 크게 나누면 漸次, 不定, 圓頓의 세 가지이다. 지의의 4종삼매는 실천론의 완성이라는 마하지관 제1장 제2항 修大行에 설명되어져 있다.4종삼매 가운데 형식적인 상좌삼매, 상행삼매, 반행반좌삼매에 이어서 설정한 것이 비행비좌삼매이다. 앞에서는 행도면 행도, 좌선이면, 좌선, 또한 행도와 좌선의 겸수를 한결같이 행하지만, 여기서 위에 나온 세 가지 삼매와 구별되는 것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비행비좌삼매는 覺意三昧라고도 불리며 隨自意三昧라고도 불린다. 동시에 歷緣對境의 止觀이고 우리들 인간이 움직이면서 나타내는 모든 행위동작을 망라하고 있다. 이것은 여러 경론에 의한 것으로서 行, 住, 坐, 臥라는 동작을 유형화하여 분류한 것이다. 마하지관에서는 이 隨自意, 覺意三昧를 경전에 의지하는 諸經觀과 윤리적 규범에 의지하는 三性觀으로 요약하여 止觀을 행한다고 한다. 제경관에는 청관음경에 의해 상세하게 실천방법(理觀)을 제시한다. 삼성관에는 諸善, 諸惡, 無記(非善非惡)으로 요약하고 이 3종의 일상심을 수시수처에 止觀의 對境으로 하며 모든 행위가 圓頓止觀이고 事觀이라는 것을 설하고 있다. 또한 비행비좌삼매와 일상생활의 어떤 행위에 국한되지 않고 화두를 의심하는 수행법인 간화선은 적어도 형식에 구애되지 않는 실질적 수행법을 개발하겠다는 점에서는 서로 일치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천태와 선의 상호교류와 사상적영향에 대한 편린도 이 부분에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Ji-eui systematized Buddhism as a whole based on the thorough Zen practice and Saddharma-pundarika-sutra, which can be summarized in two words - Jigwan(止觀), and again they are divided to three aspects - Jeomcha(漸次), Buljeong(不定), and Wondon(圓頓). The four kinds of Sam-mae(三昧) of Ji-eui are explained in Sudaehang(修大行), Chapter 1 Paragraph 2 of <Mahajigwan>, which is called the completion of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Among the four kinds of Sammae, formative Sangjoa-sammae, Sanghang-sammae, and Banhangjoa- sammae are followed by Bihangbijoa-sammae. Former ones include all practices – Hangdo, Joaseon,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but the last one is distinguished from them in terms of its freeness of formation. Besides, Behangbijoa -sammae is called Gakui-sammae(覺意三昧), and Sujaui- sammae(隨自意三昧). At the same time, it is Jigwan(止觀), close observation of Yeokyeondaegyeong(歷緣對境), and covers all kinds of behaviors and actions made while human is moving. Various noble documents support this theory, and mainly the motions are divided into such types as Hang(行), Ju(住), Joa(坐), and Wa(臥). <Mahajigwan> in practice of Jigwan(止觀), summarizes the Sujaui(隨自意) and Gakui-sammae(覺意三昧) into Jegyeonggwan(諸經觀), relying on scriptures, and Samseonggwan(三性觀), relying on ethnic regulations.
    Jegyeonggwan presents the way of practice in detail through <Cheonggwaneumgyeong>. Samseonggwan summarizes them into Jeseon(諸善), Je-ak(諸惡), and Mugi(無記)(neither good nor evil), and regards these three states of mind as the proper response of Jigwan(止觀), stating that all behaviors are Wondonjigwan(Perfect Zhi Guan), and Sagwan(事觀). Besides, Ganhwaseon, a way of practice to doubt the topic regardless of and behaviors in daily life has something to do with Bihangbijoa-samma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y try to develop practical asceticism not affected by formation. Thus, it is though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Cheontae(大師) and Seon(禪) and traces of ideological effects also could be found in this s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