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증언에 관한 리드의 비환원주의 (T. Reid's Non-reductionism on Testimon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2.05
27P 미리보기
증언에 관한 리드의 비환원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31권 / 153 ~ 179페이지
    · 저자명 : 한상기

    초록

    사실상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은 이런저런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의 증언에 의존한다. 따라서 증언은 지식과 정당화의 원천으로서 인식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도 역사적으로 증언은 인식론에서 감각지각이나 추론, 기억 등 지식과 정당화의 다른 원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시되거나 경시되어왔다. 이러한 무시나 경시의 한 가지 이유는 증언에 관해 로크나 흄 같은 철학자들이 전개한 전통적 견해들이 크게 작용했다. 로크는 증언에 의존하는 관행을 노골적으로 비난해왔다. 흄은 증언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했지만, 증언의 신뢰성 기반이 귀납논증에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이 귀납논증은 다시 지각적 증거에 근거를 둔 관찰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흄의 견해에 따르면, 증언은 지식과 정당화의 이차적 원천이지 일차적 원천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흄은 증언에 관해 환원주의적 견해를 제창했다.
    그렇지만 흄과 동시대인인 리드는 흄과 정반대되는 견해를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특정 보고가 그르다는 것을 의심할 좋은 이유를 갖고 있지 않는 한 그 증언을 한 사람의 말을 언제나 승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증언에 관한 리드의 기본 입장은 흄과 달리 신뢰라는 입장이다. 리드의 견해에서는 증언에 기초한 믿음이 일차적인 인식적 격위를 가지며, 단순히 이차적인 격위를 갖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증언에 기초한 믿음의 정당화는 지각이나 추론 등의 다른 원천들로 환원될 필요가 없고, 그 자체로 일차적인 기초적 원천으로서의 격위를 갖는다. 이렇게 보면 증언에 관한 리드의 견해는 흄과 대비시켜서 비환원주의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증언에 관한 리드의 비환원주의를 소개하고, 반 클리브의 견해를 토대로 비판적으로 음미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그래서 우선 증언에 대한 신뢰나 의존과 관련하여 리드의 비환원주의를 지탱하는 두 가지 원리, 즉 경신성 원리와 진실성 원리에 대한 반 클리브의 해석을 제시한 다음, 두 원리가 어떻게 리드의 비환원주의를 뒷받침하는지 설명할 것이다. 반 클리브는 지각과 증언의 유사성을 탐구한 다음, 둘 사이의 유사성이 심리학에서 인식론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 살핀다. 그런 다음 반 클리브는 지각이 인식적으로 기초적 원천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리드의 비환원주의가 반 클리브의 지적대로 적절한 정당화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으며, 그래서 정당화되지 못한다고 결론지을 것이다.

    영어초록

    Virtually everything we know depends in some way or other on the testimony of others. Thus, testimon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knowledge and epistemic justification. Despite the vital role that testimony occupies in our epistemic lives, traditional epistemological theories focused primarily on other sources, such as sense perception, introspection, reason, and memory, with relatively little attention devoted specifically to testimony. One reason for this neglect may lie in the traditional views, by such philosophers as Locke and Hume, about the status of testimony. Locke has particularly disparaging words to say abut the practice of relying on testimony. Hume has noticed the importance of testimony, but he has regarded testimony as simply one form of inductive evidence among others, which is in turn based on the perceptual evidence. According to Hume, testimony is the second-hand source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Therefore, we can say that Hume has proposed reductionist views on testimony.
    Thomas Reid, a contemporary of Hume, suggests approach that is diametrically opposed to Hume's views. He argues that we should always accept someone's testimony unless we have good reason to suspect that a particular report is false. Unlike Hume, his default position is one of trust. For Reid, testimony has status of immediate, first-hand, and basic source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Thus, Reid has propounded non-reductionist views on testimony.
    Reid introduces the two key principles of his theory of testimony in the Inquiry into the Human Mind. These principles are called the principles of veracity and credulity. They are the key elements in his non-reductionist account of how we successfully acquire justified belief or knowledge on the basis of testimony from others. This paper first aims to outline Reid's non-reductionist views on testimony, and examine them critically based on Van Cleve's view. Van Cleve point out that it is not always clear in Reid where psychology of testimony stops and epistemology begins. Very well, is his account of testimony just a piece of descriptive psychology, or is it meant as normative epistemology? Van Cleve believes his account of testimony is meant as both. Finally, I examine his non-reductionisit views of testimony critically under that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