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鍪藏寺碑의 書者 硏究 (A Study on the Letter's Writer of the Monument of Silla's Mujangsa Buddhist Templ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0.12
40P 미리보기
新羅 鍪藏寺碑의 書者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0호 / 179 ~ 218페이지
    · 저자명 : 최영성

    초록

    이 논문은 신라 무장사비의 書者를 밝혀 신라 서예의 위상을 드높이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종래 무장사비는 王羲之 글씨를 집자한 것으로 보는 측과 金陸珍이 글을 짓고 글씨까지 撰幷書 보는 측의 견해가 대립하여 왔다. 집자비 설은 청나라 금석학자 翁方綱이 주장한 뒤 식민지 시기 일본 官學者들에게 계승되었다. 광복 이후 일본 학자들의 주장이 인습적으로 통용되면서 집자비란 인식이 오늘날까지 학계 일반에 널리 퍼져 있다. 필자는 집자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차례 답사를 한 뒤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450여 자를 판독하고 字型을 분석하였다. 무장사비가 왕희지 글씨와 흡사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다수의 글자에 미묘한 변화가 있었고, 왕희지가 남긴 글씨에 없는 글자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집자비와는 달리 글씨가 매우 고르고 조화를 이루었다. 게다가 1914년에 발견된 비편에서 ‘□□□金陸珍奉 敎□’ 아래 있는 ‘皇龍寺……’ 운운하는 대목은 무장사비의 글씨를 쓴 사람이 김육진이 아니라 황룡사 스님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글씨를 쓴 사람을 밝히는 데 결정적 근거가 된다. 洪良浩나 金正喜 당시에는 이 비편을 볼 수 없어 서자를 판단하는데 활용되지 못하였다. 또한 발견 이후 일본인 학자들은 보아 넘기거나 부각시키지 않으려 하였고, 광복 이후 우리 학계에서는 이에 주목한 학자가 없었다. 이러한 학계 분위기 속에서 비편을 재검토하여 서자를 신라의 황룡사 스님으로 추정한 것은 의미 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lifting the status of Silla calligraphy by clarifying the letters' writer of the monument of Silla's Mujang Buddhist Temple. Traditionally, the opinion that the monument of Mujang Buddhist Temple is a collection of Wang Xi Zhi's characters and one that its story was made up and its letters were written by Kim Yuk Jin have been in conflict. The view of collection of characters was first supported by Ong Bang Gang, an epigraphist of the Qing Dynasty and inherited to Japanese scholars of government school during the colonial period. After the Independence, the opinion of Japanese scholars was conventionally in common use and accordingly the view that the monument is a collection of characters been spread throughout the general academic world up to this day. I made several field surveys to verify whether it really was a collection of characters; I deciphered about 450 characters and analyzed the types of the letters through a scientific research method. In fact, the characters of the monument of Mujang Buddhist Temple were similar with those of Wang Xi Zhi yet most of the letters showed delicate changes and included many letters that Wang Xi Zhi's did not have. Furthermore, unlike the collection of the characters, they were very regular and were in harmony. And in a piece of a memorial stone discovered in 1914, the part commented as 'Hwangryong Buddhist Temple… 'under the part, ’Kim Yuk Jin, a Buddha-believer, teaches', implies that it was not Kim Yuk Jin who wrote the letters of the monument of Mujang Buddhist Temple but a monk at Hwangryong Buddhist Temple. This is a critical ground to figure out who wrote the characters. In the times of Hong Yang Ho and Kim Jung Hee, they could not see this piece of the memorial stone thus was not used for examining the characters to find out who the writer was. Even after it was discovered, the Japanese scholars overlooked it or tried not to make a big deal out of and there have either been no scholars, in our academic world, who paid attention to this after the Independence. In such circumstance of the academic world, it is meaningful to re-examine the piece and to presume that the characters belonged to a monk at Silla's Hwangryong Buddhist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