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폭력의 힘과 평등주의 상상계: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 윤리학 (The Force of Non-violence and an Egalitarian Imagina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1.02
27P 미리보기
비폭력의 힘과 평등주의 상상계: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 윤리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과이론 / 26권 / 1호 / 185 ~ 211페이지
    · 저자명 : 조현준

    초록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은 취약성, 불안정성, 박탈을 겪는 삶의 소수자가 상호의존의 방식으로 연대해 비폭력 저항을 실천하고 인본주의의 보수화를 피하면서 현실의 당면한 정치적 문제에 대한 윤리적 해법을 모색한다. 2001년 9/11이후 몸의 취약성과 감정의 관계성에 주목한 버틀러는 인간의 공통 토대를 근본적 취약성에서 찾는다. 취약성은 권리의 차등적 분배인 동시에 그것을 극복할 연대의 가능성, 즉 정치적 행위주체성이자 그에 대응할 윤리적 반응이 될 수 있다. 취약한 몸의 집단이 공공장소에 나타나는 집회의 수행성은 폭력에 비폭력적으로 대항할 힘이자 윤리-정치의 결속점이다. 버틀러는 인간의 몸의 취약성, 서로에게 의존하는 관계성, 탈규범적 사유의 확대, 그리고 폭력에 대항하는 비폭력 주장을 통해 주체의 공격성이 윤리적으로 표명되는 정치 윤리를 세우고자 한다.
    『비폭력의 힘』은 평화 시위, 집회, 거리와 네트워크의 연대를 통해 비폭력의 방식으로 폭력에 저항하면서 현실 정치에 토대한 새로운 윤리학을 정립하고자 한다. 비폭력의 힘은 약자를 대변할 힘이고 삶의 가능성, 애도 가능성, 정의 가능성을 높일 사회정치적 힘이다. 비폭력 운동이 근본적 평등주의의 이상에서 작동할 때 살기 좋은 삶과 애도 가능한 죽음에 대한 동등한 주장이자 비폭력 정치와 윤리의 근간이 될 수 있다. 비폭력은 행위 실패가 아니라 삶의 주장이며, 인간의 근본적 공격성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인간 심리 기반에 있는 애증의 양가성으로 발산하는 적극적 힘이다. 비폭력의 정치적 힘은 체계의 폭력이 자기 본질을 감추려는 책략을 드러내고 그것에 맞서는데 있으므로 비폭력 저항은 수동적 침묵이 아니라 저항과 변혁의 능동적 힘이다. 비폭력은 너와 나의 상호의존성에 근간한 ‘평등주의 상상계’를 전제할 때 그 불가능한 상상에서 실천적 동력을 가져올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Force of Non-violence, Judith Butler seeks to find an ethical solution of non-violent resistance to contemporary political issues of minorities suffering from bodily vulnerability. Vulnerability can be not only the differential political distribution of rights but a basis of common ethical solidarity to overcome it. This essay examines the force of non-violence in the performativity of an assembly in public places, combined with a group of exposed vulnerable bodies against systemic violence.
    The Force of Non-violence attempts to set up a new ethics of nonviolence and asserts that nonviolence is less a failure of action than a physical assertion of the claims of life, mired in ambivalence and aggression. Nonviolent resistance is not passive silence but an active force of resistance and transformation as the ethico-political bind. A strength of nonviolence emerges from the power of the weak to establish existence, to achieve grievability, and to insist on the possibility of justice. When nonviolent movements work within the ideals of radical egalitarianism, it could be the equal claim to a livable and grievable life. An egalitarian imaginary, which is an imagined, open-ended, tenuous solidarity grounded on human interdependency, insisting that all lives can and must be equally valued, is required for such an ongoing struggle of non-violence. An egalitarian imaginary is unrealistic but a way of bringing another reality into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과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