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The Ritual of Royal Tombs and Perception of Former Kings Reflected in ‘The Ji-an Koguryo Stele(集安高句麗碑)’)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3.06
41P 미리보기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0호 / 139 ~ 179페이지
    · 저자명 : 조우연

    초록

    이 글에서는 集安 高句麗碑의 성격 파악을 전제로, 비문에 보이는 일부 표현에 초점을 맞춰 왕릉제사의 단면과 왕권 정당화이론 및 조상인식에 대해 살폈다.
    우선, 집안 고구려비는 廣開土王 시기에 先王陵 守墓와 관련된 원칙을 명시하여 후대 규범으로 삼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한 ‘文告碑(혹은 詔勅碑)’로서, 광개토왕비 비문에그러한 원칙이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다음으로, 왕릉 守墓와 祭祀와 관련해서, 수묘인들이 하천주변에 집단 주거하면서,왕릉 관리 役을 수행했는데, 비문의 ‘以(臨)河流’가 그러한 상황을 함축적으로 표현한것이다. 비문의 ‘四時祭祀’는 유교적인 관용구로서, 고구려 고유의 繼世的 사후관념에유교적인 ‘孝’관념이 가미된 표현으로 이해된다.
    그 다음으로, 왕권 정당화 이론과 조상인식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수 있었다. 비문의 ‘授天道’는 ‘授天命’과 동일한 의미이며, 이는 일종의 왕권 정당화 이론으로서, 董仲舒가 제창한 ‘君權神授’라는 새로운 유교이론의 발상이다. 고구려에서 유교를 지배이념으로 수용한 계기에 대해서는, 漢 초기와 4∼5세기 고구려의 사회・정치적 배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외, 集安 高句麗碑는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 고구려 건국신화를 수록한 문자자료로서, 비문에서 새롭게 확인되는 ‘元王’의 실체에 대해 몇 가지 추론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ritual of royal tombs and perception of former kings to analyzed ‘The Ji-an Koguryo stele(集安高句麗碑)’ which a new Koguryo stele was unearthed in Jian(集安).
    First, this stele was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geto(廣開土王), and it's the decree about royal tomb guarding system. Its purpose is to clarify the tomb guarding principles to show peoples. The inscription about tomb guarding system on the ‘The king Gwanggeto stele(廣開土王碑)’ is the manifestation of this principle.
    Second, about the tomb guarding system and the ritual of royal tombs, I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peoples who duty for tome guarding were live together near the river and the inscription “以(臨)河流” is reflected this situation.
    2) Inscription of the ‘four season sacrifice(四時祭祀)’ is a common description of confucianism and it's reflected in the confucianism notion about ‘filial duty(孝)’.
    Third, about the justify kingship theory that reflected in the inscription, I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inscription ‘Take command form sky(授天道)’ is the embodiment of confucianism ideas which converted by Dong zhong-shu(董仲舒) and it's the theory of ‘Divine right of kings(君權神授)’ The reason that Koguryo(高句麗) accept the new confucianism theory which converted by Dong zhong-shu(董仲舒) is caused by the similar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between early west Han dynasty(西漢) and the 4∼5century Koguryo(高句麗).
    The last, ‘The Ji-an Koguryo stele(集安高句麗碑)’ is the earliest document that contains the founding myth of Koguryo(高句麗). And the inscription “元王” is never founded in founding myth document before, so it's seems to be important, and we should try to interpret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