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왕시 쉐어블프로젝트 발달장애인 자립워크샵의 의의와 효과성 분석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Self-Reliance Workshop of Sharable Project in Uiwang city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rough FGI)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9.12
21P 미리보기
의왕시 쉐어블프로젝트 발달장애인 자립워크샵의 의의와 효과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지적장애인연맹 산하 아시아저널센터
    · 수록지 정보 : Asia-Pacific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6권 / 2호 / 85 ~ 105페이지
    · 저자명 : 김예성, 하웅용

    초록

    연구목적: 의왕시 쉐어블프로젝트인 자립워크샵을 통해 변화된 참여 발달장애인, 보호자 및 지역사회의 모습을 관찰함으로서 자립워크샵의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자립워크샵 프로그램 개발자, 진행자, 참여 발달장애인, 발달장애인 보호자로 구성된 네 개 집단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방식을 통해 초점집단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인터뷰 내용을 전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한 발달장애인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좀 더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실수를 극복하고 성취감과 자신감을 획득해가는 내적 변화가 있었다. 이를 통해 타인과 대화하는 방법을 배우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타인의 입장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관계 영역의 변화 또한 경험하였다. 참여 발달장애인은 가정에서도 가족들과의 대화가 늘고, 집안일에 참여하는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보호자들은 불안과 걱정을 덜고, 자녀의 자립에 대해 희망을 가지게 되었다. 한편 워크샵이 진행되는 동안 지역사회도 부분적이나마 발달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결론: 자립워크샵은 효과적인 발달장애인 자립 프로그램이며, 향후 이러한 프로그램은 지속되고 더 많은 지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 내 발달장애인의 자립이라는 실질적인 결과로 연결되기 위해 지역사회 구성원이 발달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관심, 그리고 프로그램 참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Purpose: Through the self-reliance workshop which was one of sharable projects in Uiwang City, identified the achievements and discusse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by looking at improved participat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guardians and local community. Method: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for four groups consisting of the self-reliance workshop developers, moderators, participat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guardians,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Results: Through the workshop, participat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honestly,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at the workshop, there were internal change in overcoming mistakes and gaining fulfillment and confidence. Also participat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lso experienced changes in the areas of relationships such as they could learn how to talk to others, form close relationships, and think about others' positions. participat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reased their conversation with their family and brought about changes such as doing housework. These changes have helped guardians to reduce nervousness and anxiety, and to hope for their children's independence. Meanwhile, during the workshop, the community also showed partial but favorable changes to the developmental disabled. Conclusion: This workshop was an effective program of self-reliance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nd such programs need to continue and expand to more area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practical result of self-reliance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community members need to understand, care the developmental disabled and participate in the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