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써의 플레이스 브랜딩- 유럽사례를 중심으로 - (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methods of revitalizing idle space - Based on European Examples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8.10
14P 미리보기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써의 플레이스 브랜딩- 유럽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5호 / 331 ~ 344페이지
    · 저자명 : 김부미, 권영재,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그 모습을 바꾸어왔으며 그 과정에서 버려져 방치된 공간이 발생하였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구도심이나 오래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결책 중 하나로‘유휴공간의 재생’이 제시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따라, 유휴공간을 활용한 브랜드들이 다변화하여 성장하였고, 문화공간에 한정되어 있던 흐름이 상업공간, 주거공간으로 까지 확대 되고 있다. 하지만, 유휴공간의 장소성을 무시한 채, 외형적 차원의 현대성을 부여 하는 것에 집중 되었고, 이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본 연구는 유휴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적 가치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휴공간의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을 분석하여 유휴공간 활성화 방안의 전략적 수단으로써 플레이스 브랜딩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재생 건축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유럽 지역으로 한정하여, 성공한 유휴공간의 재생 사례에 해당하는 공간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유휴공간과 플레이스 브랜딩의 개념에 대해 연구하고 서술한다.
    둘째, 유휴공간의 의미적 활용 가치 특성과 유휴공간의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에 대해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특성을 토대로, 사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종합 분석하여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활용 가능성을 제시 한다. (결과) 유휴공간의 자원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유휴공간 활성화의 전략적 도구로 플레이스 브랜딩을 시도한 국외 사례의 경우, 단순히 건물의 형태를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보이지 않는 정체성을 물려받아 인위적으로 만들래야 만들 수 없는 자신만의 ‘특별한 감성’으로 공간의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 활성화, 나아가 도시재생 까지 이룬 사례들이 많았다. 유휴공간이 가지고 있는 의미적 가치는 공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중심이 된다. 이를 기반으로 한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의 물질적 측면의 활용 요소와 비물질적 측면의 활용 요소가 결합된다면 장소에 대한 기존의 이미지가 더욱 더 강화되고 지속가능한 공간을 가능하게 한다. (결론) 현재 유휴공간의 활용이 활발한 사회적 배경에서 지속가능한 방법에 대한 고민이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된다. 플레이스 브랜딩을 통한 유휴공간의 활성화는 유휴공간에 내재된 역사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지속가능하게 하며, 지역문화에 활기를 불어 넣어 건축물의 재생을 넘어서 지역 활성화와 나아가 도시재생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유휴공간의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방법의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라며,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으로 도구로 플레이스 브랜딩이 활용 가능할 수 있도록 특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paces gradually change in appearance over time, with many ending up abandone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re launching the New Deal policy to address the revitalization of old downtown and squalid areas.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project has been presented as one solution. According to this social program, brands using idle space grow by diversifying, and visitor flow limited to cultural spaces is expanding to commercial and residential spaces. However, it has concentrated on giving the appearance of modernity, while ignoring the locality of idle space, thereby creating another problem in an ever-changing reali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emantic value elements inherent in idle space, and based on these, analyze the place branding method of idle space and then propose 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means of revitalizing idle space. (Method) Cases of successfully revitalized idle spaces were selected and studied, limited to areas in Europe,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regenerative architec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and described the concepts of idle space and place branding. Second, we drew on the semantic value of idle space and the means to brand idle space. Thir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we study conducted a case analysi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using 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method to revitalize idle space. (Results) In overseas cases where place branding was attempted as a strategic method for the revitalization of idle space, space was not simply inherited from the shape of a building but the activation of its own special sensibility, which cannot be created artificially. Regarding special sensibility, there were many cases of revitalization of space, as well as regional revitalization and even urban regeneration. The meaningful value of idle space becomes the center of discrimination through a deep reflection on the nature of space. If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utilization elements of the place branding method are combined, the existing image of the place becomes reinforced and more sustainable. (Conclusions) The current use of idle space will continue to be considered as a sustainable way. The revitalization of idle space through place branding helps sustain the historical and symbolic value inherent in idle space and can invigorate local culture, have far-reaching impact beyond building regeneration, and even engender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hopes to continue the research on the revitalization and sustainable methods of idle space in Korea. It is meaningful for proposing 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tool for revitalizing idle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