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플렉서블 브랜딩(flexible brand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ible Branding for Value Co-creation with Customer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4.10
12P 미리보기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플렉서블 브랜딩(flexible branding)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4권 / 4호 / 439 ~ 450페이지
    · 저자명 : 김찬숙, 나건

    초록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네트워크와 지식의 교환을 통해 다른 소비자들과 정보를 공유하며 집단지성을 이루고 있다. 소비자들은 그동안 기업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받던 수동적 입장에서 스스로 정보를 생산하고 전달한다. 또한, 참여와 공유를 통해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비의 패턴뿐 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분야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기업 중심의 브랜딩 활동에 한계성을 지적하며,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플렉서블 브랜딩의 개념을 제시한다. 플렉서블 브랜딩은 미디어 환경과 소비자 반응에 움직이고 변화하는 가변적 구조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구축과 활용의 과정을 통해 브랜드 경험 확장과 소비자와의 공동 가치 창조를 목표로 한다. 국내외의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플렉서블 브랜딩의 유형은 시각체계의 확장 유형, 정보와 이야기 전개 유형, 미디어 반응과 상호작용 유형, 협력적 가치 창조 유형으로 제시된다. 또한, 확장성, 통합성, 적응성, 개방성의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플렉서블 브랜딩의 유형과 특성은 지속 가능한 브랜드를 만들고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전략적 방법론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플렉서블 브랜딩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그것의 개념과 활용적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플렉서블 브랜딩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논의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Consumers nowadays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through myriads of networks and achieve what is called collective intelligence. Rather than passively taking in information from companies, consumers now actively create and deliver information. By shar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consumers not only have shown a change in consuming patterns, but also lead the shift in political, economical, societal, and cultural paradigms. This is the concept of flexible branding this paper put forth to handle the unpredictable management environment. Thus,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the identity, flexible identity can be defined as a concept of branding aiming to develop and expand the brand experience through cooperative value creation with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lexible branding from analyzing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lexible branding is composed of four types: visual system expansion, information and narrative, media interaction, and value co-creation. Also, the four characteristics of flexible branding are: expandability, integrity, adaptability, and openness. The type of flexible branding seen in this study will create an sustainable brand an act as the methodological base with which the company can work with the consumers to co-create value and expand the brand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can be seen in the various discussions of flexible branding and the proposal of the concept and value.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flexible branding and should actively discuss the matter m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