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Design Applying Space Branding)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1.10
14P 미리보기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7호 / 351 ~ 364페이지
    · 저자명 : 김지선, 김범관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지역 농업의 약해진 경쟁력의 대안으로 1차산업 농업과 2차산업 제조·가공, 3차산업 서비스가 융복합된 6차산업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고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에서는 생산·가공에 체험·관광·판매 등 서비스업을 연계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6차산업의 양적인 정책지원과 비교하여 6차산업의 서비스공간은 질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질적 향상과 지역의 가치실현을 위하여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6차산업 서비스공간과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해당 용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정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국내 6차산업 서비스공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방향을 설정 후 공간을 설계하고 공사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적용 대상은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인 소이빈삼동이다. (결과)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지역 산업을 위한 교류 형성의 시작점으로,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과 유지 그리고 지역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이 기반이 되는 차별성 있는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현재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표현방법으로 공간이 계획되어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결론) 6차산업 서비스공간에서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은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인상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정보를 공간디자인을 통해 전달할 수 있어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전략이 된다.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은 소비자에게 반복적이지만 새로운 경험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소비자와의 관계를 활성화한다. 이로써 지역 산업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고 질적인 측면과 지속 가능한 측면에서 지역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3,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roposed the 6th industry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agriculture. The 6th industry is a converged type of primary industrial agriculture and secondary industrial manufacturing, as well as tertiary industrial services. Since local governments have supported the 6th industry in different ways, the service space that links not only production and processing but also experience, tourism, and sales has been created in the region. However, the qualitative state of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quantitative support it has received in terms of its polic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6th industrial service space by studying spatial design and space brand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 space and to add to local values. (Method) The concept was initially understood and a framework was established for the Korean cas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and space branding.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a direction of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design was set and applied to spatial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oybean-Samdong, a 6th industry service space located in Ulju-gun, Ulsan, was taken as the case study. (Results)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is a starting point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 exchanges,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differentiated experience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This can help not only form and maintain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ut also continuously develop local industry. Analysis of the case study illustrated the difficulty of providing a differentiated experience to consumers through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because the space was designed to work universally and on a general scale without its own characteristics. Space branding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applied to spatial design to provide consumers with special experiences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Conclusions) In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space branding that reflects local resour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gives consumers a memorable impression but also delivers complex information through spatial design. Therefore, spatial design that applies space branding could be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activate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y providing repetitive but fresh and new experiences. As a result, local industries can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and regional values to improve the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