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퍼객체의 시점, 오버뷰 이미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영화를 중심으로 (The Perspective of a Hyperobject, Overview Image: Focusing on (Post-)Apocalyptic Genre Film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5.03
27P 미리보기
하이퍼객체의 시점, 오버뷰 이미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영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103호 / 99 ~ 125페이지
    · 저자명 : 김선아

    초록

    본 논문은 인류세 시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영화를 하이퍼객체(hyperobject) 개념을 통해 분류하고, 장르의 의의를 논한다. 아포칼립스는 신적 계시를 통해 세계의종말과 열린 세상을 의미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기후변화, 자본주의적 초국가적 시스템과 같은 비가시적이며 총체화가 불가능한 구조로 세속화되었다. 이러한 ‘지속적 종말’의 감각은 대중문화, 특히 영화에서 강하게 재현되며, 하이퍼객체에 대한 영화적감각으로 표현된다. 티모시 모턴이 정의한 하이퍼객체는 인간보다 더 크고 시공간적으로 광범위하여 인간의 지각과 통제를 초월하는 존재들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투모로우>(2004) 같이 인간 영웅이 대재앙을 극복하는 인간 중심적이니 재난 스펙터클, 둘째, <설국열차> (2013)처럼 거대한 자본주의적 질서를 형상화하여 복잡한 초국가적 시스템을 단순한 환원 구조로 재현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놉>(2022)처럼 전통적인 아포칼립스 서사를 벗어나 종말이 미래의 특정 사건이 아니라 현재에 이미 내재한 상태임을 보여주는 유형이 있다. 본 논문은 세 번째 유형의 영화에 집중한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영화는 ‘오버뷰 이미지(overview image)’ 개념과도 연관된다. 과거 신의 자리가 있던 하늘은 현대 기술을 통해 감시 위성이 떠 있는 공간으로 변했다. 인간은 하늘을 장악한 듯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는 인간의 시야를 넘어선 존재들의 등장과 맞물린다. <놉>에서 등장하는 ‘움직이지 않는 구름’은 기존의 오버뷰 이미지가 제공하는 통제의 감각을 깨뜨리고, 인간이 알 수 없는 혹은 부분적으로만 감각할 수 있는 하이퍼객체의 존재를 암시한다. 이러한 감각은 단순한 재난 서사를 넘어,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방식 자체를 뒤흔든다. 특히 <놉>은 인간의 시야 바깥에 있는 존재를 통해, 종말이 미래에 일어나는 사건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이미 진행 중임을 감각적으로 일깨운다. <놉>은 하이퍼객체의 존재를 통해 신적 시점을 세속화한 인간 중심주의를 해체하면서 새로운 정동적이고 철학적인 사유를 요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categorizes (post-)apocalyptic films of the Anthropocene era through the concept of the hyperobject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genre. Traditionally, the apocalypse signifies both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revelation of an open world through divine intervention. However, in the modern era, it has been secularized into invisible and untotalizable structur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the capitalist transnational system. This sense of “perpetual apocalypse” is vividly represented in popular culture, particularly in cinema, as an aesthetic manifestation of hyperobjects.
    The hyperobject, as defined by Timothy Morton, refers to entities that are vastly larger than humans and that extend across space and time, transcending human perception and control. Based on this concept, (post-)apocalyptic film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consists of anthropocentric disaster spectacles, such as The Day After Tomorrow (2004), in which human heroes overcome catastrophic events.
    The second type includes films like Snowpiercer (2013), which visualize immense capitalist structures, reducing complex transnational systems into simplified, allegorical representations. The third type, exemplified by Nope (2022), departs from the traditional apocalyptic narrative, illustrating that the apocalypse is not a future event but a condition already embedded in the present. This paper focuses on the third category.
    (Post-)apocalyptic film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overviewimage.” In the past, the heavens were conceived as the domain of divine perspective, but in the modern era, they have become a space occupied by surveillance satellites. While humans seem to have taken control of the skies, paradoxically, this shift coincides with the emergence of entities beyond human perception. In Nope, the “motionless cloud” subverts the sense of control provided by the traditional overview image, hinting at the presence of hyperobjects that humans can only partially perceive. This aesthetic sensibility disrupts conventional disaster narratives, fundamentally challenging the ways in which humans seek to understand the world.
    Particularly, Nope uses an entity beyond human sight to evoke an awareness that the apocalypse is not an impending future event but an ongoing phenomenon in the present. By foregrounding the presence of hyperobjects, the film dismantles the human-centered perspective that has secularized the divine viewpoint, demanding a new affective and philosophical engagement with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