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환경 경험에 따른 베이비붐과 MZ세대의 공간 선호도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Spatial Preference of Baby Boomer and MZ Generation according to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06
10P 미리보기
디지털 환경 경험에 따른 베이비붐과 MZ세대의 공간 선호도 차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4호 / 575 ~ 584페이지
    · 저자명 : 한경훈, 이선정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현대 사회는 공간 인식 측면에서 새로운 양식을 취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배경은 2022년 문광부 국민문화 예술 활동 조사·국민 여가 활동 조사를 확인한 후 연령대별 선호 공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의 근거를 찾아가면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1955년~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와 MZ세대(1980년~1994년 사이에 출생한 M세대와 1995년~2005년 사이에 출생한 Z세대를 포함하는 세대)의 선호 공간이 차이 나는 원인의 근거를 밝히기 위해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한 리서치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는 디지털 환경 경험 격차가 가장 큰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공간방문을 위한 디지털 활용 방식에 대해 고찰한 후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특성과 디지털 수용 차이점을 파악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피에르 부르디외 아비투스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연령별 선호 공간 자료를 기반으로 두 세대의 선호 공간을 아비투스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후 아비투스 관점으로 공간 선호도와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의 관계성을 밝힌다. (결과) MZ세대의 성장기에는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었고 자연스럽게 아날로그 문화보다는 디지털 문화에 오랜 시간을 보냈다. 성장기에 형성된 디지털 경험 아비투스는 무의식적으로 기존 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습성을 가지며 이러한 성향 체계는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베이비붐세대의 아비투스는 유년 시절 오랜 시간 동안 경험해 온 아날로그 문화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급변하는 디지털 사회에서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익숙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결론) 아비투스 이론의 관점에서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선호 공간과 각 세대의 디지털 활용 특성을 연구한 결과 두 세대의 서로 다른 공간방문 방식이 밝혀졌고, 이를 통해 익숙한 공간을 선호하는 베이비붐세대와 다양한 공간을 경험하는 MZ세대는 서로 다른 아비투스의 영향으로 선호하는 공간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비투스 관점에서 바라볼 때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가 관계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information age, the modern society has adopted a new style in terms of spatial perception.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lies in 2022 when the Ministry of Culture’s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and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ere confirmed, and thereafter, the basis for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y age group was determ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etween the baby boomers (generation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the MZ generation (generation including Generation M born between 1980 and 1994 and Generation Z born between 1995 and 2005).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s and differences in spatial preferences. The study scope encompasses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who have the largest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gap.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manner of use of digital tools for spatial visit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digital acceptance. The preferred space of the two generations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 Avitus based on the preferred space data by age. There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preference and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by generation is revealed. (Results) During the growth period of the MZ generation, digital culture became common, providing this generation greater exposure to the digital rather than the analog culture. The digital experience Avitus acquired during the growth period forms a habit of subconsciously remaining in the existing environment. This propensity manifests as visiting various spaces using digital information. Conversely, the baby boomers' Avitus is formed by the analog culture. This manifests as visiting a familiar space without subconsciously using digital information in a dynamic digital society. (Conclusions) A study of the preferred space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gital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vitus theory revealed the manner in which the two generations visit spaces. The baby boomers who prefer familiar spaces and the MZ generation who experience various spaces differ in terms of their preferred space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different Avitus. Consequently, the difference in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spatial preference is rel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vi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