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이비붐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교육 시설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Planning of Educational Facilities for Digital Literacy of Baby Boomer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06
8P 미리보기
베이비붐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교육 시설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4호 / 135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예림, 류숙희, 장석훈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기술은 우리 사회를 점점 디지털화 시키고 있지만 장노년층의 세대는 지금의 디지털화되는 속도를 따라가기가 힘들다. 힘들다. 인구 고령화와 디지털 격차는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현재 한국 사회의 인구 고령화 현상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이제 고령층에 진입하게 되는 베이비붐 세대이다. 이 세대는 그 전과는 다른 정치, 사회, 문화적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노인 세대와는 차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베이비붐 세대 역시 기술의 성장으로 인한 각종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많은 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베이비붐 세대인 중장년층을 위한 시설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디지털 교육에 중점을 둔 교육 시설 공간을 계획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선행 연구와 통계 및 문헌 조사를 통해 이론을 고찰하고, 사례 조사를 통해 중장년층의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육 또는 사회복지시설 공간 디자인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 범위는 관련 보고서 및 기사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참고하여 일정한 대표성을 지닌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특화된 시설을 갖추고 있는 교육 및 사회복지시설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결과) 국내 및 해외 사례 분석 결과 현재 장노년층의 사회복지시설은 프로그램과 공간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구성은 다양하나 그에 비해 공간이 협소하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사회복지시설 및 디지털 교육 공간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주입식 교육 시스템에서 벗어나 서로의 의견과 생각을 교환하고 교육자 중심의 교육이 아닌 학생과 교육자, 학생과 학생 사이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연한 교육공간이 필요하다. 이동과 변형, 변경이 자유로운 가구를 사용하며, 무빙 월 등을 활용하여 수업에 맞는 형태를 이루어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계획한다. 둘째, 폐쇄되어 답답하지 않고 실내에서의 개방과 외부 공간과 연계되는 열리고 확장된 공간을 통해 시각적 개방감과 동시에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며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한다. 셋째, 단순히 교육을 받는 학습의 공간이 아닌 베이비붐 세대의 새로운 문화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중장년층을 위한 창조, 성장, 교류가 있는 다양한 공간이 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규모와 형태가 어우러진 커뮤니티 시설을 계획한다. 넷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디지털 교육뿐만 아니라 디지털로 가능한 놀이를 중장년층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하여 그들에게 디지털이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의 공간 구성과 디지털 교육 시설 특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교육 시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디지털 교육뿐 아니라 그들의 은퇴 이후 제2의 삶을 설계하고 새로운 인생을 준비하고 나아갈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국내·외 사례의 양적, 질적인 비교·분석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echnology that develops day by day is increasingly digitizing our society, but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and the elderly to keep up with the current speed of digitization. Baby boomers are also having difficulty using various digital media due to the growth of technology. As the aging society progresses rapidly, many facilities are being operated for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but facilities for the middle-aged, who are baby boomers,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lan an educational facility space focusing on digital education to effectively exert the digital literacy of baby boomers.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ories through prior research, statistics, and literature on baby boomers and digital literacy, and studies the spatial design of educational 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provide digital education for the middle-aged through case studies. For the scope of the study, cases of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ith digital specialized facilities were selected for middle-aged people with certain representation by referring to data collected through related reports and articles. (Result) As a result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currently consist of various programs and spaces. On the other hand, educational programs for digital literacy vary in composition, but the space is narrow or insufficient. In this study, an educational space for digital literacy of baby boomers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uses furniture that can be moved, transformed, and changed freely, and plans an environment where it can be educated in a form suitable for class using moving walls. Second, it plans a space where you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people and learn freely at the same time as a visual openness through an open and expanded space linked to indoor and external spaces. Third, community facilities of various sizes and forms will be planned to become a space for creation, growth, and exchange for middle-aged people so that it can become a new cultural venue for baby boomers. Fourth, not only digital education for digital literacy, but also digitally possible play can be experienced by middle-aged people, so that digital can be more familiar to them. (Conclus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ducation facil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ducational facilities for digital literacy of baby boomers using them. In addition to digital education for baby boomers, it is expected to be a space to design a second life after their retirement, prepare for a new life, and it seem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ases at home and abroa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