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양론과 출판문화-교양의 제도화와 출판문화로 본 교양붐- (Culture Discourse and Publishing Culture: Systemized Culture and Culture Boom from a Publishing Cultural Point of View)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0.10
42P 미리보기
교양론과 출판문화-교양의 제도화와 출판문화로 본 교양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42호 / 7 ~ 48페이지
    · 저자명 : 소영현

    초록

    이 논문은 해방과 전쟁을 겪은 한국사회가 1950년대 중후반을 거치면서 교양론을 다시 요청하게 된 요인이 무엇인가에 관해 질문해보고자 했다. 이와 관련하여 1950년대 중후반이라는 시대적 맥락을 염두에 두고자 했다. 말하자면 국민 형성과 국민 통합에 기초한 근대국가의 형성이 주된 과제로 요청되었던 이 시기의 정치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교양론이 요청/유포되었던 물적 토대와 환경을 검토하고 교양론의 의미를 보다 총괄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기초해서 구체적으로 『사상계』의 ‘교양’란이나 가와이 에이지로의 『학생과 교양』(『학생총서』 시리즈)의 편(번)역의 궤적을 검토하면서 ‘교양’의 외연이 아카데미즘의 미달의 영역으로 자리매김되고 있음을 확인해 보았으며, 교육을 통해 사회적 통합을 지향했던 엘리트 지식인에 의해 교양론이 고등교육 시스템 내부로 안착하는 과정을 검토해보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국가와 대학 제도에 의해 교양론이 점유된 측면이 있다면, 그 유포의 물적 토대가 된 것이 출판문화라는 점을 고찰해보았다. 출판문화와 출판사의 출판 경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 교양출판은 학술출판의 빈틈을 메우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1960년대 전후의 교양붐이 사회 전반에 걸친 전문화와 연동하는 움직임으로서 전문화 과정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계급적/이데올로기적 편향성에도 불구하고 사회 통합의 기제로 활용되고 있었음을 밝혀보았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culture discourse(敎養論) in the pre and post 1960s was re-called in Korean society which went through de-colonized time and Korean war. In this regard, I researche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state, which has been requested as a major challenge at this time, taking into account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and the meaning of the that request in terms of a material substructure and publishing environmental view, and then re-examined the meaning of culture discourse as a whole. Especially I delineated external boundary of culture discourse as a academism below by examining ‘culture’ column in 『SaSangGye』(思想界) and 『Student and Culture』(學生と敎養) edited by Kawai Eijiro(河合榮治郞). And I intensified that culture discourse was landed insid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by elite intellectuals who intended the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I focused that nation state and university system had been occupied by the culture discourse in this way, and the material foundation for the dissemination was conducted a publishing culture. As the view point of publishing culture and the tendency of publication at that time, publishing for culture boom wa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mass cultural field and the academic field. As a result, this research reviewed that this culture discourse and publishing boom in the 1960s has performed the role as a process of specialization throughout the community, and being used as a basis of social integration in spite of class/ideological bi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