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령과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신여성상 비교 연구 -『붉은 장미와 흰 장미』와 『계산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New Female Image Presented in the Novels of Zhang Ailing and Li Shanxi)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8
20P 미리보기
장애령과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신여성상 비교 연구 -『붉은 장미와 흰 장미』와 『계산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Journal of Social Sciences) / 12권 / 2호 / 85 ~ 104페이지
    · 저자명 : 장아함

    초록

    중·한 양국에서 가부장제 사회의 여성상을 다룬 문학 분야에서 장애령과 이선희는 비슷한 시대적 배경과 성장과정을 거친 두 여류 작가로 여성상을 반영한 작품을 많이 집필하였다. 장애령은 여성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춰 여성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선희도 여성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데 주력하고 그 시대여성의 의식 변화를 생생하게 재현했다. 이 논문은 장애령의 작품인 『붉은 장미와 흰 장미』와 이선희의 작품인 『계산서』를 연구 대상으로 소설 주인공 왕쟈오루이 (王嬌蕊)와‘ 나’의 신여성상을 비교·대조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1930~40년대 서양 문화의 충격을 받은 중·한 양국의 신여성상을 부각시키려고 한다. 연구 결과 첫째, 두 여주인공이 모두 서양문화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자아의식의 각성 및 자유연애와 인권평등을 추구하는 신여성의 모습을 갖추게 되는 한편, 왕쟈오루이는 남편 의존적이며 사회현실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도시 여성인 ‘나’에 비해 독립적인 성향을 더 강하게 보이는 여성으로 비춰지고 있다. 둘째, 작품에서 드러나는 장애령의 여성관은 자아 정체성을 가지고 주체적이며 독립적인 삶의 태도를 갖춘 여성이며, 이선희는 여성의 자아 정체성은 중요하지만 결혼, 가정 또는 사회생활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작품을 통해 1930~40년대 봉건 사상에서 벗어나 남녀평등과 독립을 추구하는 중국의 신여성상과 념녀평등과 여성독립을 추구지만 여전히 가부장적 사회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의 신여성상이 대비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e literature dealing with female images in the patriarchal society of China and Korea, Zhang Ailing and Li Shanxi, two female writers with a similar period background, wrote many works. Zhang focused on a depiction of women and opened a new horizon of female literature, and Li also devoted herself to a portrayal of female images and vividly recreated Korean women's thoughts at that time. This study took Zhang Ailing's “Red Rose and White Rose” and Li Shanxi's “Calculation Book”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new female image of China and Korea in the 1930s and 1940s, which were influenced by Western cultur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protagonist Wang Jiaorui in Zhang's is a new woman who pursues free love, human rights and equality, and self-consciousness while‘ I’ in Li's are dependent on her husband and cannot be separated from social reality. Second, Zhang has a strong self and an independent attitude while Li identifies with her own subjectivity but feels inseparable from her marriage, family and social life. Third, Chinese new females in the 1930s and 1940s tried to get rid of the feudal ideology and pursued equality and independence while Korean new females also pursued equality and independence but still could not remove the patriarch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Journal of Social Scienc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