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촛불 소녀’에서 ‘메갈리안’까지, 2000년대 여성 혐오와 인종화를 둘러싸고 (From “Candle Light Girls” to “Megalian,” Moving Toward Misogyny and Racialization in the 200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5.11
26P 미리보기
‘촛불 소녀’에서 ‘메갈리안’까지, 2000년대 여성 혐오와 인종화를 둘러싸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19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류진희

    초록

    2000년대 한국 여성에 대한 혐오와 혐오 발화는 이제 ‘김치녀’라는 명칭에서 볼 수 있듯 인종화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현재 강력 범죄 피해자의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오싹한 지표가 뒤따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그 대상인 20~30대 여성 당사자들이 혐오 발화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메갈리안(megalian)’ 현상이 주목된다. 이들은 남성들의 여성 혐오를 그대로 패러디하는 ‘미러링(mirroring)’ 실천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기존의 가부장적 성 담론을 서사적 차원에서 반대로 구체화하면서 성별에 따른 차별과 그 모순을 폭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소위 ‘김치남’의 ‘미개’를 비판할 때, 서양 남성을 문명으로 상징하거나 코피노 문제를 아동으로 재현하는 것은 인종주의적 징후로 볼 수 있다.
    이들은 2000년대 민주주의의 희망으로 찬탄되던 ‘촛불 소녀’였다. 이들은 타인에 대한 공감, 소수자와의 연대 등으로 논의되었지만, 사실 이들은 1990년대 대중문화의 자장에서 배태되었던 자기 계발적 주체들이기도 했다. 따라서 이제 ‘배운 녀자’가 된 그들은, 여성이기에 더욱 혹독한 신자유주의 체제 속에서 다른 진보적 의제와는 달리 이주민의 발신지로서 아시아를 경계한다. 더 나아가 2000년대 한국의 다문화 정책과 그 지원이 결혼 이주 아시아 여성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에 집중된다는 현실도 지적한다. 실로 2000년대 한국의 다문화 정책은 신자유주의 하 재편되는 가족을 유지하고 관리할 책략인 동시에, 좌파적 민족주의를 약화시키면서 시혜적 국가주의를 주장할 근거로 활용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보육 중심의 여성 정책이 비/미혼 여성을 배제하고 있다는 정황도 한몫한다. 따라서 이들은 노동력을 확보하고 미래 유권자를 포섭하는 정책적 장기 집권 프로세스의 하나로 남성 중심의 가정 창출을 위한 다문화 정책과 그에 성별적으로 관여하는 아시아 여성들에 곱지 않은 시선을 던지는 것이다.
    요컨대 한국사회에 만연하는 여성 혐오와 실종된 인종주의 논의, 그리고 가부장적 가족 재창출과 보육 중심의 여성 정책에서 메갈리안이 탄생했다. 그러나 이들의 전략적 혐오 발화는 경합하고 진화하고 있다. 인종화의 대상으로 한국 여성이 다른 인종의 여성과 어떻게 만나게 될지, 성장 중이었기에 급진적이었던 촛불 소녀의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이 다시 발현될 계기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use of hate speech of women as a strategy, instead of the phenomenon of hatred of women itself. The hatred and hate speech against Korean women in the 2000s has been moving toward racialization, as reflected by the expression ‘Kim-chi girl.’ According to 2015 indicators, the majority of victims of violent crimes were women. In those circumstances, the target age group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have been embracing the “Megalian” phenomenon, according to which they actively carry out hate speech. These women claim to employ a mirroring strategy by parodying the misogyny of men. In other words, the existing patriarchal gender discourse is materialized in reverse on a narrative level, emphasizing its sexual discrimination and contradiction. However, when criticizing the uncivility of the so-called “Kim-chi men,” the setting of Western men as the representation of civilization or the description of KOPINO as a child can be considered a problematic racist symptom.
    The women involved are the so-called “Candle Light Girls,” who were praised as bearers of democratic hope in the 2000s. They were cited as an example of sympathy toward others and solidarity with minorities. However, they were above all agents of self-improvement, as inspired by the popular culture of the 90s. Therefore, after becoming “the educated women” in a neo-liberalistic system that was particularly intense for them as they were women, they displayed vigilance against Asia as a place of dispatch for immigrants, contradicting their other progressive agendas. Moreover,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fact that Korea’s multi-cultural policy and support in the 2000s focused on families with married Asian immigrant women. Of course, this was aggravated by the fact that women’s policy centered on child-care, excluding single or unmarried women. In short, they opposed multi-cultural policies supporting male-centered families as perpetuators of the prolonged political rule of men by securing support from the labor force and winning a future electorate. Moreover, they cast a hostile look at the Asian women involved in this process. In conclusion, “Megalian” results from the prevailing hatred against women in Korean society, the absence of a discourse on racism, and the focus on the encouragement of patriarchal family and child-care in women’s policy. The hate speech has been used as an intensifying and enlarging strategy by these women.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reconsider the way Korean women should accept women of different races, and how the Candle Light Girls’ aspiration for democracy, which was extremely radical in its early stage of development, can be developed into another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