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마존 열대우림의 가뭄과 산불: 장기 기후변화와 엘니뇨-라니냐의 영향 (Drought and Wildfires in the Amazon Rainforest : Impacts of Long-Term Climate Change and El Niño–La Niña)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5.03
18P 미리보기
아마존 열대우림의 가뭄과 산불: 장기 기후변화와 엘니뇨-라니냐의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 / 9권 / 1호 / 269 ~ 286페이지
    · 저자명 : 장유운

    초록

    본 연구는 1981∼2023년 장기 기후자료를 바탕으로 아마존 열대우림의 가뭄과 산불 발 생 패턴을 분석하고, 기후 변화 및 엘니뇨-라니냐 순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아 마존 전역에서 기온 상승이 지속되는 가운데, Porto Velho와 Rio Branco에서는 강수량 감 소가 두드러졌고, Tabatinga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강수량 변동이 크지 않아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가뭄지수(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분석을 통 해 엘니뇨 시기 강수량 감소와 극심한 가뭄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Manaus, Belém, Tefé에 서 가뭄 빈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Rio Branco와 Porto Velho에서는 ENSO보다 삼림 벌채와 같은 장기적인 환경 변화 요인이 가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나타났다. 또 한, 산불과 대기오염 지표로 에어로졸광학깊이(AOD, Aerosol Optical Depth) 분석 결과, 엘 니뇨-라니냐 순환과 산불 발생 간의 직접적인 상관성은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 서는 엘니뇨-라니냐의 영향이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인간 활동이 가 뭄과 산불 발생의 주요 변수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아마존 열대우림의 지속 가능한 보전을 위해서는 지역별 맞춤형 관리 전략과 기후 변화 및 인간 활동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 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drought and wildfire occurrence patterns in the Amazon rainforest based on long-term climate data from 1981 to 2023, evaluat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El Niño–La Niña cycles. The results indicate a continuous rise in temperature across the Amazon, with a significant decline in precipitation observed in Porto Velho and Rio Branco, whereas some regions, such as Tabatinga, exhibited minimal precipitation variability, highlighting regional differences. The analysis of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confirmed reduced precipitation and severe droughts during El Niño periods, with a notable increase in drought frequency in Manaus, Belém, and Tefé. In contrast,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deforestation, appeare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drought in Rio Branco and Porto Velho than the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Additionally, an analysis of Aerosol Optical Depth (AOD), an indicator of wildfires and air pollution, revealed a weak direct correlation between ENSO cycles and wildfire occurrenc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acts of El Niño–La Niña vary by region and that human activities may be a primary factor influencing drought and wildfire occurrences in certain area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cessity of region-specific management strategies and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nsiders both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the Amazon rainfo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