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for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 With Priority Given to the Japanese Theory and Judicial Precedent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법학 / 28권 / 2호 / 223 ~ 251페이지
    · 저자명 : 김상찬

    초록

    저당권자는 채권전부의 변제를 받을 때까지 목적물 전부에 대하여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데 이를 저당권의 불가분성이라고 하며, 우리 민법 제370조는 저당권의 분가분성에 대하여 민법 제321조의 유치권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이에 관하여 다룬 논문이 거의 없는 실정이고, 교과서에서도 유치권의 규정을 준용한다고 하고 있을 뿐이고, 유치권에서도 특별한 설명을 하고 있지 않아서 이 개념은 명확하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당권의 불가분성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불가분성에 관련된 여러 문제를 검토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일본에서는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하여 프랑스의 법이론을 받아들여 비교적 구체적인 법리를 정립하고 있는 바, 저당권의 불가분성을 기능영역이 다른 두 개의 개념으로 구성된다고 보고 있다. 즉 저당권의 불가분성은 피담보채권의 각 부분은 담보목적물 전부에 의해 담보되는 것으로서 저당권 시행 전에 그 객체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피담보채권에 관한 불가분성’과, 담보목적물의 각 부분은 피담보채권의 전부를 담보하는 것으로서 저당권 실행시에 우선변제권의 범위에 관계되는 것으로 기능하는 ‘담보목적물에 관한 불가분성’이라는 두 개의 개념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일본에 있어서의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법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 있어서 지금까지 추상적으로 생각되어 온 저당권의 불가분성의 의미와 내용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한다. 우선 일본에 있어서 구민법상의 불가분성이 도입되는 과정과 현행민법전이 성립하는 과정에서의 불가분성에 관한 논의에 대하여 살펴본 후, 일본의 현행민법전 상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학설과 판례를 분석․정리하고 있다. 본고는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이에 관한 법이론을 정립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mortgagee can exercise the right for the entire object until the whole credit is reimbursed, which is called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the regulation of the lien, the Article 321, our Civil Law shall apply to the regulation of the Article 370, our Civil Law, with respect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This concept is not clear state since it is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has been no thesis dealing with this in our country and the textbook mentioned that the regulation of the lien shall apply in only and there has been no special explanation in the lien. Therefore, it would be so necessary to clear up the concept of inseparability of mortgage and review the several issues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The comparatively concrete principle of Law has been established by introducing the legal theory of France with respect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in Japan, the inseparability is considered to be the sphere of functional area comprising two different concepts. Namely,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is comprised of the inseparability in connection with the secured claim aiming at keeping the object as each part of secured claim is in pledge by the entire mortgage object before the exercise of mortgage and the inseparability in relation to the mortgage object as each part of mortgage object is to hold a mortgage of the entire secured claim functioning related to the sphere of preferential repayment right at the time of exercise of mortgage.
    We, in this manuscript, intend to further definitize the meaning and contents of mortgage which has been thought abstractly till now in our country by inspecting the legal theory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in Japan. This manuscript is analyzing and arranging the theory and the judicial precedent, to begin with, after inspecting the debates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both in the process where the inseparability of old Civil Law has been introduced and in the process where the current code of Civil Law has been established, in Japan, This manuscript will help establish the legal theory in relation to this in our country where there has been no advanced research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at 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