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사 글로벌 경제 구조하에서의 달러화 환율 불균형 오차 조정과정 분석 (Analysis of Disequilibrium Error Adjustment Processes of Dollar Exchange Rates in an Approximated Global Model : A Transformed Error Correction Model Approach)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9.03
26P 미리보기
근사 글로벌 경제 구조하에서의 달러화 환율 불균형 오차 조정과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연구 / 23권 / 1호 / 49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윤영

    초록

    본고에서는 엔화, 파운드화 및 유로화 등으로 구성된 근사 글로벌 경제 구조 하에서 미 달러화대비 환율의 불균형 오차(disequilibrium error) 결정요인을 통화주의적 환율결정 모형과 공적분 이론에 근거하여 유도된 변환 오차수정모형을 통해 살펴 보았다. 추정 결과 장기균형의 경우 통화주의 모형의 이론적 예측에 대체로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차의 단기 동태방정식의 경우 환율의 불균형 오차가 실물 부문과 상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영국 및 유로지역의 무역수지 변동은 자국통화 환율의 시차 불균형 오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미국의 무역수지 변동에는 유로․달러 환율의 불균형 오차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로지역의 대미 성장률 격차에는 엔․달러 및 파운드․달러 환율의 불균형 오차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파운드․달러 환율의 경우 불균형 오차가 균형으로 수렴하지 않는 비정상성을 보인 반면 유로․달러 환율의 경우 불균형 오차가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빨리 사라지는 높은 정상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추정 결과는 실물경제의 안정을 위해 정책당국이 환율의 불균형 오차의 변동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on the analysis for the dynamics of disequilibrium errors in dollar exchange rates in an approximated global model. Our approach is based on a transformed error correction model which is derived from an observationally equivalent transformation in Kim(2008) and Kim and Park(2008). In particular, we multiply a nonsingular matrix to the left hand side of 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o exploit a disequilibrium error dynamics.
    So the transformed model is composed of the equations representing autoregressive (AR) error dynamics and the partial error correcting equations. The AR nature of the dynamics enables us to discuss on the stability of disequilibrium error, while conventional error correction model is not possible to conduct it explicitly.
    The disequilibrium error is defined from the concept of Engle- Granger cointegration of which theoretical back grounds are based upon the monetary approaches for the determination of exchange rates.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global model are dollar real exchange rates, short and long term interest rates, relative growth rates of industrial productions comparing with United States(US) and stock prices for the United Kingdom (UK), Euro area and Japan. The categories of models are classified following Lucas(1982), Bilson(1978), Frankel(1979) and model of Frankel with a stock price(say extended model).
    From standard Johansen and Shin(1994)’s tests, we can not reject the existence of a cointegration for the exchange rate of each individual country. So we estimate the long run cointegration relation by OLS(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for these different models.
    The data frequency is monthly from January 1999 to August 2007. The CUSUM tests did not find any evidences of structural breaks during the suggested period. We found moneys are critical factors to determine the long run cointegration relation while the signs of coefficient estimators were consistent with the most theoretical expectations of monetary approaches.
    The disequilibrium error may be estimated from the above OLS regression and it may be exploited to construct an estimated AR error dynamics and error correcting equations of trade surplus changes and relative growth rates between a country and the US economy.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these short run dynamics, we found the disequilibrium errors of exchange rates significantly affect to the real sectors and vice versa. In particular, the changes of trade surpluses in UK and Euro area are affected by the disequilibrium errors of own country and especially the change of trade surpluses in the US is largely affected by the disequilibrium error of Euro area.
    Further, the relative growth rate of Euro area is heavily affected by the disequilibrium errors of Yen․Dollar and Pound․Dollar. The disequilibrium error of Pound․Dollar showed instability while the stability of disequilibrium error of Euro․Dollar is remarkable.
    Thes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olicy makers should carefully monitor the disequilibrium errors as well as the long run equilibrium level of exchange rates for the stability of real sectors in econo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