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주 시민의 일상사와 자기의식 - 《혼불》과 공유지(Commons)의 사례 - (The Daily History and Self-consciousness of Jeonju Citizens: Two Examples of Reading Group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07
40P 미리보기
전주 시민의 일상사와 자기의식 - 《혼불》과 공유지(Commons)의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록학연구 / 81호 / 5 ~ 44페이지
    · 저자명 : 오항녕

    초록

    본고는 전주 시민들의 활동에 대한 체험 및 관찰 보고이다. 이를 위해 시민들의 당대사이자 ‘작은 사람들(kleine Leute)’의 일상사(Alltagsgeschichite)를 보여주는 일기, 단체카톡방, 메모, 인터뷰 등 텍스트 또는 본디지털(born-digital)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시민 모임은 독서모임이자, 등산, 영화 같은 취미도 함께 즐기고 있다. 회원은 평범한 동네 사람들이다. 한 팀은 최명희(崔明姬)의 《혼불》을 약 1년 반 동안 읽으면서 답사를 겸하였고, 또 한 팀은 ‘공유지(commons)’를 주제로 몇 권의 책을 읽으며 답사, 전시나 영화를 함께 보고 누렸다.
    본문은 모두 세 부분 구성하였다. 첫째, 지역민의 일상사를 살필 수 있는 방법과 관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상사의 전망과 이론의 가능성을 포착한 포이케르트(Detlev Peukert)와 뤼트케(Alf Lüdtke), 하부정치에 통찰력을 제공한 스콧(James C. Scot)의 견해를 검토하였다. 전주 시민들의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일상사 연구의 관점과 방법을 찾기 위해서였다.
    이를 토대로, 둘째, 《혼불》 모임의 경험을 살폈다. 코비드(Covid)19와 대결하는 시기에 이루어진 《혼불》 읽기는 강렬한 지역성과 연관되어 시작했다. ‘지역이 낳은 위대한 작가’에 대한 비판이 불편했던 마음을 내려놓으면서, 회원들의 비판의식은 《혼불》 3권 이후 드러나고 6권 이후 두드러졌다. 특정한 형태의 공감(상심, Betroffenheit)에 고착되기보다 역동성을 택하는 시민들의 자기의식(고집, 아집, Eigensinn)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였다. 지역사의 서술과 연구에서 맞닥뜨릴 난점이자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셋째, 공유지를 주제로 모인 시민들을 관찰하였다. 이 모임은 전주 지역 시민들의 하부정치(infra-politics) 역량의 실제와 축적 과정을 보여주었다. 공유지 읽기는 《혼불》에 비해 지역 시민으로서의 ‘마음 고생’을 겪지 않았다. 그보다 사유 재산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살면서도, 모임이 진행됨에 따라 공유지에 대한 인식이 정교해지고 주체적으로 이슈와 논의를 서로 공유하였고, 그 실천과 문제의식을 통해 풍부한 은닉 대본(hidden transcript)을 축적해갔다.
    현대의 일상은 자본주의 시대와 떼어서 생각하기 어렵다. 더 근본적으로 인간이 즐기거나 고통을 당하는 것은 일상 속에서, 지금 여기에서이다. 모든 역사는 지금 여기 있는 내 몸을 거친다. 이것이 일상사의 보편성이다. 일상을 살면서 동시에 비판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일상사를 만드는 시민의 역량에 달려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experience and observation report on the activities of Jeonju citizens, who are ‘kleine leutes’. Text or Born digital materials such as diaries, group chat rooms, memos, and interviews showing citizens’ contemporary and daily history (Alltags geschichite) were used for this purpose.
    These civic groups are reading groups we can find easily and they also enjoy walking, hiking, and movies, and so to speak ordinary local people are their members. One team read Choi Myung-hee’s “Honbul” for about a year and a half, while another team read several books under the theme of “commons,” and enjoyed exploring, exhibiting, or watching movies together.
    The main text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I looked at the methods and perspectives to examine the daily life of local people. To this end, the views of Detlev Peukert and Alf Lüdtke, who captured the prospects and the possibilities of theories of daily history, and James C. Scott, who provided insight into infra-politics, were reviewed. This work was to find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daily history research that could observe the activities of Jeonju citizens.
    Second, we looked at the experience of the “Honbool” meeting. The reading of “Honbool” which took place during the period of confrontation with Covid19 began in connection with its intense locality. As the criticism of “a great writer born in our local land” relieved the uncomfortable feelings, the members’ critical mind was revealed after Volume3 of “Honbool” and stood out after Volume6. It seem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consciousness(Eigensinn) of citizens who choose dynamics rather than being stuck to a specific form of empathy (Betroffenheit). I think it showed the difficulty and hope to face in the description and research of local history at the same time.
    Third, I observed citizens who gathered on the subject of public land. This meeting showed the actuality and accumulation process of the infra-political capabilities of citizens in Jeonju. Reading commons did not suffer from ‘heart trouble’ as a local citizen compared to “Honbool”. Rather, the difficulty of related books was an obstacle, and the difficulty was easily resolved. As the meeting progressed, awareness of the commons became more sophisticated and issues and discussions were independently shared with each other, and a wealth of hidden transcripts were accumulated through its practice and problem consciousness.
    It is difficult to think about modern daily life apart from the capitalist era. More fundamentally, it is here and now in everyday life that humans enjoy or suffer from. All history passes through my body here and now. This is the universality of daily history. It depends on the ability of citizens to create daily history to 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the distance of cri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