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완주 송광사 대웅전의 변천과정과 소조삼세불좌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lay seated statue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Main Hall at Songgwang-sa temple in Wanju)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07
41P 미리보기
완주 송광사 대웅전의 변천과정과 소조삼세불좌상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0호 / 11 ~ 51페이지
    · 저자명 : 이헌준

    초록

    17세기 대형소조불상의 마지막 작례인 완주 송광사 소조삼세불좌상은 현재 남아있는 소조불상 가운데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한다. 하지만 현재 불상이 봉안되어있는 소조불상과 대웅전을 살펴보면 불상 조성당시의 건축이 아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기대웅전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대웅전 관련 기록들을 종합하고 그 기록을 통해 대웅전의 변천과정과 현재 모습으로 변화했을 시기를 추정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초기 대웅전의 상량은 1634년 7월 12일에 이루어졌고 대웅전의 구조는 2층 정면7칸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후 4번의 중창을 거친 사실이 사료를 통해 확인되었고 그 시기는 1634년, 1684년(추정), 1814년, 1857년, 1990년 등이었다. 이 가운데 대웅전은 1857년 중창시기에 2층에서 1층으로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이밖에도 완주 송광사 소조삼세불좌상의 양식적 특징은 17세기 대형불상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와는 다르게 표현되는 부분들이 있었고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조각승 청헌과 법령의 공동작업에 의해 조성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시 청나라 볼모로 잡혀간 봉림대군의 환국을 바라고 전쟁으로 인해 죽은 사람들까지 극락왕생하기를 바라는 등의 조성의도를 알 수 있어서 매우 흥미롭다.

    영어초록

    To date, the Wanju Songgwang‐sa temple is said to have opened in 1622. However, there are also claims that it existed even before 1622.
    From historical sources, it can be seen that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main hall (Daeungjeon) took place on July 12, 1634, and at that time,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e of the main hall comprised seven front spaces in a two‐story structure. Furthermore, it is presumed that the structure of the main hall at the time of its first construction was that of the main hall (Daeungbojeon) at Beopjusa‐temple in Boeun.
    The style features of clay seated statue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of the main hall (Daeungjeon) at Songgwang‐sa temple in Wanju are interesting because there are parts that are expressed differently from those commonly seen in large‐scale Buddha statues in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know that it was created by the joint work of the monk‐sculptors Cheongheon and Beopryeong based on the original text of the construction found inside the Buddha stat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