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농민’의 교차성: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 (The Intersectionality of ‘Female × Peasant’ : A Study on the Identities and Inequal Experiences)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04
61P 미리보기
‘여성×농민’의 교차성: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촌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촌사회 / 31권 / 1호 / 93 ~ 153페이지
    · 저자명 : 정숙정

    초록

    이 연구는 ‘여성’ 또는 ‘농민’이라는 정체성에 일치하지 않는, ‘여성×농민’의 교차성을 여성농민의 불평등 경험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농민이 쓴 수기형식의 칼럼 122편을 분석하고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병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미 다증상적 위기를 겪고 있는 농촌 지역은 기후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여성농민은 가중되는 농촌․농업의 위기와 성차별 관행으로 인해 농사일 고충, 빈곤, 몸 아픔을 겪고 있다. 특히 ‘모성 제도’는 여성농민의 교차성을 관통하는 억압기제로 작동한다. 여성농민의 농사일과 가사일, 마을을 돌보는 일은 ‘생산적 농업노동’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어머니의 일로만 간주된다. ‘제도화된 모성’으로 인해 여성농민은 비가시적 다중성역할을 수행하게 되지만, 여성농민에게 있어 '모성'은 대안적 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이기도 하다. 여성농민은 농사일을 ‘먹여서 살리는 일’, ‘생명을 돌보는 일’이라는 의미의 ‘생명농사’ 로 규정함으로써 ‘모성윤리를 실천하는 생산자’로서 자긍심을 살려낸다. 또한 실천행위의 주체로서 여성농민은 ‘할머니’를 가부장제의 피해자로만 규정하지 않고 ‘돌봄과 생태 가치를 실천하는 생산자’로 재현한다. 여성농민의 새로운 정체성은 생태위기를 가속화하는 소비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과 돌봄 공동체의 대안을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sectionality of female × peasants who do not match the identities of 'women' or 'peasant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inequality and identities of female peasants. To this end, newspaper columns written by female peasants were analyzed,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were conducted. Rural areas had already faced a multi-symptomatic crisis and now faced a climate crisis. Due to the growing crisis of rural and agricultural and gender discrimination practices, female peasants are suffering from agricultural labor, poverty, and physical pain. The oppression mechanism that penetrates the intersection of female peasants is 'institutionalized maternal'. Even if a female peasant does farming, housework, and village care, it is not recognized as ‘productive agricultural labor’, it is considered only a mother’s duty. Institutionalized motherhood forces female peasants to play invisible multiple roles, while 'motherhood' is also a source of women peasants to create alternative values. Farming by female peasants is interpreted as 'life farming', which means 'feeding and survival' and 'taking care of fragile living things'. Female peasants become proud as producers who practice maternal ethics. Female peasants do not define 'grandmothers(elderly female farmers)' as the victim of patriarchy: They are redefined as 'producers who realize the value of care and ecological value'. The new identity of female peasants show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o consumer capitalism accelerating the ecological crisis and the alternative of a caring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촌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