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양보호사의 불안정 노동과 이직을 둘러싼 제도적 관계 (Why Do Care Workers Return to work?: The Institutional Relations and Precarious Work)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9
34P 미리보기
요양보호사의 불안정 노동과 이직을 둘러싼 제도적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정책 / 45권 / 3호 / 179 ~ 212페이지
    · 저자명 : 권현정, 전현수, 고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잦은 이직’이 제도적 관계(사회정책, 노동시장정책)안에서 어떻게 조직화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발생시킨 지배론적 담론을 살펴보는데 있다. 기존 연구들은 이직의 원인을 인간관계나 직무만족, 근로조건과 같은 개인이나 조직차원에서 찾는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불안정 노동이 어떤 시퀀스를 통해 이직이 발생하는지를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으로 풀어냈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심층인터뷰, 장기요양시설에서의 현장관찰, 제도적 텍스트 등이다.
    연구결과, 장기요양정책이 근로기준법과 부정합하여 요양보호사는 과도한 업무량을 감내하면서 이직이 활성화되었다. 또한 요양보호사는 사회보험에서 배제되지 않았지만, 몸이 아파도 휴직제를 쓸 수 없어 퇴직을 종용당하는 등 사회보장제도가 실직적인 재분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특히 정부가 추진한 시장화정책이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과 결합되면서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고용보험제도, 퇴직금제도,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오히려 이직을 유도하는 정책이 되기도 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재취업은 삶을 지탱할만큼의 노동조건과 사회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불안정노동의 복합적 위기상황에서 받은 실업급여로 노동과정에서 축난 몸을 스스로 재활시키고 일터로 복귀하는 과정(return to work)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시장자유화 전략, 소비자 선택모델, 신공공관리론에 근원을 두고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turn to work of care worker are organizationed within various institutional relations(long-term care system, social security system, labor market policy) and then examine the dominant discourse. While previous studies find the cause of job quit at a personal or organizational level such as human relationships or job satisfaction, and labour cond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by what sequence does job quit occur from the institutions relevant to the unstable labor through institutional ethnography. The data includes in-depth interviews, field observations at long-term care fercilities, institutional texts, etc. It is found that long term care policies are inconsistent with the Labor Standards Act, caregivers have been overworked with intensive workloads. Although care worker was not excluded from social insurance, sickness more often leads to job loss, because the social security system did not function as an effective redistribution. In particular, the marketization policy combined with profit-seeking capital has led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retirement allowance system,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y to protect workers. It can be seen as a process of rehabilitating the body itself and returning to work. Especially social security system which were made to protect workers were also policies that induced ternover. This is rooted in a neoliberal market liberalization strategy, consumer choice model, and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복지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