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혐오를 사랑으로 만드는 기술의 불가능성 - 김수영의 경우 (The Impossibility of Technology that Turns Hate into Love - The Case of Kim Su-young)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06
43P 미리보기
혐오를 사랑으로 만드는 기술의 불가능성 - 김수영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71권 / 149 ~ 191페이지
    · 저자명 : 최서윤

    초록

    이 글은 김수영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혐오의 논리를 분석함으로써,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여성혐오적 텍스트로 조명된 김수영의 시 세계의 문제성과 현재성을 구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시에 ‘여편네’ 등 아내를 비하하는 표현이 쓰였고, 아내에 대한 폭력이 재현됨은 잘 알려져 있다. 2015년 이전에는 자기 부정에 주목하여 아내에 대한 혐오를 ‘자기혐오’로 인식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 논의가 상당수 제출되었다. 하지만 그러한 논의는 자기혐오가 아내를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간과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다만 김수영이 한국전쟁과 같은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 사건을 정면으로 경험했음을 고려했을 때, 그의 시를 여성혐오적 텍스트로 ‘단죄’하는 것은 텍스트에 대한 평면적 독해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김수영의 텍스트를 여성혐오적 텍스트로 규명한 선행 연구의 성과를 이어받는 한편, 비판적 거리를 두고자 한다. 따라서 자기혐오와 여성혐오의 교집합인 ‘혐오’가 혁명의 (미학적) 효과인 새로움의 방법으로 텍스트에 진술됨에 주목하여,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에 대한 고찰을 논의의 지렛대 삼아, 김수영 텍스트에 대한 다시—읽기를 수행했다.
    김수영의 50년대 텍스트에 나타나는 혐오는 ‘설움’을 중심으로 분석된다. 설움은 시적 주체의 무력감 및 죄의식과 유관하다. 그는 ‘반역성’을 갖춘 시인인 자신이 열등한 타인들로 구성된 세계를 변혁할 수 없음에 무력감을 느낀다. 이 무력감은 설움으로 표출되며, 그는 설움을 느끼는 자신을 혐오한다. 혐오는 불쾌의 원인이 외부에 있음을 상정하고, 그러한 외부를 배제함으로써 오염되지 않고 순수한 자신을 보존하고자 하는 욕망을 정당화하는 감정이다. 그는 혁명을 수행하지 못하고 생활을 살아가는 자신을 죄지은 자로 규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규정에는 논리적 결여가 있다. 혁명의 주체인 시인으로 자기를 정립하기 위해 생활인으로서의 자신을 배제해야 할 필연적 이유는 없다. 시 「여자」에서 여성적 감정인 설움에서 벗어나는 일이 ‘속죄’로 재현되는데, 여기에서 그 논리적 결여가 여성혐오로 전이되는 양상이 포착된다.
    김수영이 60년대에 발표한 시와 산문을 두루 검토하면 그러한 전이의 내적 논리가 분석된다. 1960년 4·19 직후 김수영이 영구혁명의 이념과 그 주체로서의 시인에 대한 사유를 전개해 나갔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시인의 정신을 ‘미지(未知)’로 규정했는데, 그것은 혁명이 기존 체제에 대한 ‘완전한 부정’이라는 점과 유관하다. 문제는 시인이 도래할 새로운 세계가 아니라 기존 체제의 일부라는 점이다. 즉, 시인은 실천으로 혁명을 가능케 하지만, 도래할 혁명을 특정할 수 없다. 이 불가능성의 논리적 결여를 메우는 것이 ‘자학으로서의 종교’이다. 시인은 속물인 자신을 혐오함으로써 기존 체제를 부정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메시아와 같은 주권자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속물인 아내에 대한 혐오는 이 불가능성을 은폐하는 데 동원된다. 말년의 산문인 「반시론」에서는 여성 혐오를 매개로 시적 성스러움에 대한 사유가 전개된다.
    종합하면, 김수영의 텍스트에서 혐오는 시인은 불가능한 이상을 ‘가능한 불가능’으로 전환하는 방법론이었다. 그러나 시인 개인이 그러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이 공동체의 몫임은 장-뤽 낭시와 같은 여러 현대 철학자들이 이미 논증하였다. 하지만 김수영은 혐오를 매개로 시인을 초월적 존재로 정립함으로써 그 불가능성을 은폐한다. 시인이 메시아와 같은 초인이라면, 공동체 없이도 필연적으로 혁명을 완수할 수 있을 터이다. 그러므로 김수영의 텍스트에 표상된 혐오는 시로써 실천하는 혁명에 대한 그의 사유에 ‘타자로서의 (독자)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논리적 공백으로 기입되었음을 심층적으로 드러낸다. 혐오가 표상된 텍스트를 혐오하지 않으며, 문학사적 유산(流産/遺産)으로서 비판적으로 다시—수용함으로써 한국 근현대문학사를 탈구축하는 작업에 기여하고자 했다는 점에 이 글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to investigate the problematic nature of Kim Su-young’s poetry, which has been illuminated as a misogynistic text since the reboot of feminism in 2015, by analyzing the logic of hatred expressed in Kim Su-young’s poetry and prose. It is well known that expressions derogatory to his wife, such as ‘Yeopyeonne’, are used in poetry, and violence against his wife is represented. Before 2015, many discussions were submitted that focused on self-denial and argued for the need to recognize hatred toward one’s wife as ‘self-hatred.’ However, such discussions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overlook the fact that his self-loathing took the form of his hatred to his wife. However, considering that Kim Su-young directly experienced the tragic events of modern Korean history, such as the Korean War, it is necessary to be aware that ‘condemning’ his poetry as a misogynistic text reinforces a two-dimensional reading of the text. Thus, this article inherit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identified Kim Su-young’s text as a misogynistic text, while maintaining a critical distance from it. Therefore,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hatred’,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self-hatred and misogyny, is stated in the text as a method of novelty, and using Martha Nussbaum’s consideration of disgust as a lever for discussion, this article reread Kim Su-young’s text.
    In summary, in Kim Su-young’s text, hatred was the poet’s methodology for converting an impossible ideal into a probable impossibility. However, it is impossible for an individual poet to make such a transition. Several modern philosophers, such as Jean-Luc Nancy, have already argued tha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community. However, Kim Su-young conceals the impossibility by establishing the poet as a transcendent being through hatred. Therefore, the hatred expressed in Kim Su-young’s text deeply reveals that the recognition of the ‘(reader) community as the other’ was entered as a logical gap in his thoughts about the revolution practiced through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