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 마곡사 대광보전의 재건과 불교회화 (The Reconstruction of Daegwangbojeon Hall of Magoksa Temple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18th Centu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12
33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 마곡사 대광보전의 재건과 불교회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1호 / 63 ~ 95페이지
    · 저자명 : 정명희

    초록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공주 마곡사는 북방화소 금강산파인 유점사, 경산화 소 수락산파인 흥국사와 더불어 南方畫所 계룡산파의 중심 사찰이다. 마곡사의 불교회화를 논할 때 빠뜨릴 수 없는 인물이 錦湖堂 若效(1840~1928)다. 약효는 1860년대 후반부터 1924년경에 이르는 약 50년간 충청도와 경기도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한 마곡사 출신의 화 승이다. 평생을 왕성하게 활동하며 많은 제자를 길러냈기에 약효로부터 이어지는 화맥은 한국 근현대 불화의 근간을 형성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약효 활동 이전 시기의 마곡사 불화는 그 중요성에 비해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1788년 마곡사 대광보전 <영산회상도>, <삼장보살도>를 그린 연홍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 보고 대광보전의 벽화를 통해 20세기 이전 마곡사 불교회화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1782년에 있었던 마곡사의 큰 화재 후 霽峰堂 體奎의 주도로 사찰 재건이 시작되었다. 1785년부터 사찰의 주전각인 대광보전을 중건하기 시작해 1788년까지 내부에 봉안하는 三壇幀과 벽화를 제작했다. 삼단탱과 벽화는 경기도 양주의 都畫員인 練弘(演弘)을 수화승으로 15명의 화승이 제작했다. 연홍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莊祖)의 능인 현륭원을 세우고 화성을 축조하는 대공역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 연홍은 현륭원의 조성 과정을 기록한 『장조현륭원원소도감의궤』(1789)에서 조성소 화원으로 참여했으며, 『화성성역의궤』(1801) 에는 양주 흥국사 화승이며 단청 불사의 책임을 담당한 이로 기록되었다. 17세기 말 충청 지역 화승 能學 등이 대웅전 불화와 단청을 마치고 괘불을 조성한 점으로 보아, 19세기 말 20세기의 상황과는 달리 마곡사의 상징적인 불사에 충청도 화승이 아니라 수원 화성, 현릉원 축조에 참여했던 도화원을 초빙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조성된 대광보전의 벽화 역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벽화는 벽체와 포벽 외 내목도리 윗벽, 대량, 창방·평방 등 건물의 내·외부 전체에서 다양하게 확인된다. 대부분은 전각을 중수하던 18세기 후반에 그려졌으나, 일부 19세기 대광보전의 수리 이후 그려진 후불벽 백의관음보살도 등이 전한다. 1788년의 대광보전 재건 시기에 그려진 나한도로 『삼재도회』, 『홍씨선불기종』 등의 판화에서 유래한 도상을 채용했으며, 그 외에도 여래도, 나한도, 화조도, 송학도 등 총 133점에 달하는 다양한 주제가 도해되었다. 이는 충남지역 10개 사찰전각에서 조사된 벽화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수량으로, 재건 불사로 만들어진 벽 화와 후불화가 소실되지 않고 동시에 현존한다는 점에서도 드문 사례이다.
    벽화로 그려진 신선도, 철괴선생도, 하마선인도, 한산습득도 등은 불로장생에 대한 염원과 현세기복의 신앙으로 그려지기 시작해 축수축복의 의미를 담고 있다. 당시 대중적으로 인기를 누리던 도상을 종교적 성소인 사찰벽화의 소재로 채용했음을 알 수 있다. 마곡사 대광보전 벽화는 화승이 불교존상뿐 아니라 산수, 화훼, 화조, 인물화 등 다양한 화제를 수묵과 필선 위주로 그릴 때의 회화적 특징과 변천을 고찰할 수 있는 한국 사찰벽화의 보고(寶庫)이다.

    영어초록

    Geumhodang Yakhyo(錦湖堂 若效, 1840~1928), a monk painter from Magoksa Temple who worked mainly in Chungcheong-do Province and Gyeonggi-do Province is considered to have laid the historical foundation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painting.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Buddhist paintings of Magoksa Temple created before the time of Yakhyo, despite their independent historical importance.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the Buddhist project to reconstruct Daegwangbojeon Hall in the 18th century to examine the distinct style of the Monk Yeonhong, who created the Painting of the Vulture Peak Assembly(Yeongsanhoisangdo) and the Painting of Three Bodhisattvas(Samjangbosaldo), and consider the wider meaning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Magoksa Temple created before the 20th centur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murals of Daegwangbojeon Hall.
    After a huge fire broke out at Magoksa Temple in 1782, Jebongdang Chegyu(霽峰堂體奎) led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Starting to rebuild Daegwangbojeon Hall, the main hall of the temple, in 1785, the monks created the paintings for the three ritual altars enshrined in the hall, as well as the murals in the space, finishing in 1788. Fifteen monk painters worked on the paintings for the three ritual altars and the murals, and Yeonhong, a painter(dohwawon, 都畫員) of Yangju, Gyeonggi-do Province, was the chief monk painter. Yeonhong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arge-scale public service work of constructing Hyeunryungwon, the tomb for Crown Prince Sado who was the father of King Jeongjo, and the Hwaseong Fortress. According to the Royal Protocol of Temporary Office for Construction of Hyeunryungwon Tomb for King Janjo(Jangjo Hyeunryungwon Wonso Dogam Uigwe, 1789), a record of the construction process of Hyeunryungwon, he participated as a painter in the construction department(Joseongso). In addition, he was recorded as the “monk(deoksa)” in charge of the Buddhist project of painting the dancheong (multi-colored painting) as a monk from Heungguksa Temple, Yangju in the Royal Protocol on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Fortress(Hwaseong Seongyeog Uigwe, 1801). These records tell us that Yeonhong, the monk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Suwon Hwaseong Fortress and Hyeunryungwon, was specifically invited to oversee the symbolic Buddhist project of Magoksa Temple instead of other monk painters from Chungcheong-do Province.
    In parallel, the murals of Daegwangbojeon Hall are of high value as cultural assets. Except for the paintings on the wall structures and the bracket walls, most of the wall painting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were created in the late 18th century when the hall was repaired. Some remaining paintings created after the repair of Daegwangbojeon Hall in the 19th century include the Painting of White-rob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Baekeuigwaneumbosaldo), while the painting of Arhats employed the icons originated from prints such as Sancai Tuhui(三才圖會) and Hongshi Xianfo Qqizong(洪氏仙佛奇蹤). In addition, various themes including Amitabha Buddha, Arhats, birds with flowers, and cranes with pine trees were illustrated in these 133 painting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all the murals remaining within the ten main temple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at the murals and the paintings enshrined behind statues of the Buddha created through the Buddhist project of reconstruction still survive today without being destroyed by fire is great a rarity.
    Taoist topics make up a large portion of the murals, and these include Li Tieguai(one of the Eight Immortals in the Taoist pantheon), the hippo(toad, 蝦蟆), and the Zen monks Hanshan and Shide(寒山拾得).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icons of Taoist hermits became popular due to the general aspiration for perennial youth and long life, and the religiosity of the message of long life and blessings, and such popular icon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matter for the temple murals and other religious spaces. In terms of the research on Korean temple murals, those of the Daegwangbojeon Hall within Magoksa Temple therefore offer the most valuable material evidence for examining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within the Korean temple ink painting murals created by monks, providing a record of the various subjects they considered important, which included not only Buddhas but also landscapes, flowering plants, birds with flowers, and other populist religious ic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