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不動産 占有와 所有權移轉登記請求權의 消滅時效 (Besitz an Grundstück und Verjährung des Anspruchs auf Eintragung der Eigentumsübertragung ins Grundbuch)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1.02
34P 미리보기
不動産 占有와 所有權移轉登記請求權의 消滅時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사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사판례연구 / 33호 / 157 ~ 190페이지
    · 저자명 : 정병호

    초록

    부동산 매수인이 목적물을 인도받아 점유하거나 제3자에게 전매하여 인도한 경우 매수인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진행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이고 이에 찬성하는 것이 다수 학설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판례 및 이를 옹호하기 위해 제시된 논거는 설득력이 없다.
    판례는 매수인은 ‘권리 위에 잠자는 자’라고 할 수 없으며, 등기를 가진 매도인보다 점유하고 있는 매수인의 이익을 비교형량하면 후자를 더 보호하여 한다고 한다.
    거기서 말하는 ‘권리’의 의미가 애매할 뿐만 아니라, 법언 자체도 대단히 추상적인 것이어서 타당한 입론이라고 하기 어렵다. 더구나 판례에 따르면 매수인이 전매하여 인도한 경우에는 그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것을 마치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인 것처럼 아예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 권리로 만든다는 데 문제가 있다. 판례대로 하면 매수인이 등기를 게을리 하게 되는 부작용이 따르게 되어 등기제도의 이상에 반하게 된다. 구민법의 적용이 끝난 지 상당한 세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그런 매수인을 특별히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판례 및 그것을 옹호하는 견해는 부동산을 인도받은 매수인을 보호해야 한다는 결론을 미리 내려놓고 그 이유를 찾는 것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판례에는 동의할 수 없다. 매수인의 점유는 기껏해야 채무의 승인(제168조 제3호)의 관점에서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승인의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한다면, 매수인이 인도 받은 뒤 그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은 새로 소멸시효가 진행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본다면 판례처럼 인도 받은 후 점유를 상실한 경우 그 이유가 제3자에 의한 점유침탈인지 자발적인 점유이전인가에 따라 달리 판단할 이유가 없다. 또 최근 부동산실명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인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사안에 대해서도 그 판단이 쉽지 않은 이익형량 절차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영어초록

    Nach der koreanischen Rechtsprechung wird die Verjährung des Anspruchs des Grundstückskäufers auf Eintragung der Eigentumsübertragung ins Grundbuch gehemmt, solange der Käufer das ihm übergebene Grundstück besitzt oder falls der Käufer das Grundstück anschliesslich einem Dritten verkauft und übergeben hat. Der Rechtsprechung folgt die überwiegende Literatur. Aber die Rechtsprechung kann nicht geteilt werden.
    Der Oberstgerichthof behauptet, man könne nicht von dem Käufer sagen, dass er “auf sein Recht schlafe” und nach der Interessenabwägung müsse der besitzende Käufer dem Verkäufer, dessen Name im Grundbuch stehe, vorzogen werden.
    Die Verjährung bringe die Idee zum Ausdrück, wer “auf sein Recht schlafe”, werde nicht geschützt. Aber der Rechtspruch ist nicht nur zu abstrakt, um auf einen konkreten Fall angewandt zu werden, sondern auch die Bedeutung des Rechts, von dem dort gesprochen wird, ist unklar.
    Und falls der Käufer das Grundstück anschliesslich einem Dritten verkauft und übergeben hat. räumt die Rechtsprechung ein, dass der Anspruch des Käufers auf Eintragung der Eigentumsübertragung ins Grundbuch unverjährbar ist, als ob er ein Anspruch aus Eigentum wäre. Aber der Besitz des Grundstückskäufers kann bestenfalls unter dem Gesichtspunkt des Schuldanerkenntnisses (§168 Nr. 3) gewertet werden. Bei der Übergabe des verkauften Grundstücks beginnt danach die Verjährung des Anspruchs des Käufers erneut. Unter dem Gesichtspunkt braucht man den Besitzverlust nicht wie die Rechtsprechung danach unterscheiden, ob er freiwillig ist (z.B. Übergabe) oder nicht (z.B. ein Dritter einzieht dem Käufer seinen Besitz).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