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不然 李箕永 선생의 불교학방법론에 대하여 (On the Methodology of Bulyeon Rhi, Ki-Yong’s Buddh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9.08
49P 미리보기
不然 李箕永 선생의 불교학방법론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31호 / 141 ~ 189페이지
    · 저자명 : 문을식

    초록

    이 논문은 불연 이기영 선생의 유마힐소설경의 역해본을 통해서 그의 불교학방법론을 논의한 글이다. 불연선생은 산스끄리뜨, 빨리어로 쓰인 원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것은 부처님의 육성을 가감 없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불전을 반복적으로 여러 번에 읽는 것이 불교학연구의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한다.
    현실적으로 한국에서 불교학 공부는 산쓰끄리뜨와 빨리어와 같은 원전어로부터 한역된 것에 의존하고 있다. 번역은 번역자의 의도가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불전의 원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보고, 한역된 불전을 번역할 때 원전어에 의지해서 하고자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불전을 번역을 해야 할까?
    불전의 번역원리에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불전을 번역하는 방법론이다. 이에는 4가지에 의존해야 할 판단기준인 4의법이 있다. 4의법이란 ①의미에 의지하되 말에 의지하지 말라. ②지혜에 의지하되 분별식에 의지하지 말라. ③요의경에 의지하되 불요의경에 의지하지 말라. ④법에 의지하되 사람에 의지하지 말라는 것이다. 둘째는 불전번역 이론이 있이다. 이에는 크게 두 가지가 전해오고 있다. 첫째는 도안의 ‘오실본 삼불역’(五失本 三不易) 이론이다. 이것은 역경가가 지녀야 할 마음 자세를 다루는 것이다. 여기서 ‘오실본’이란 번역 과정에서 원본의 형태를 잃게 되더라도 그것이 허용되는 경우를 다섯 가지로 정리한 것이고, 삼불역이란 원본의 형태를 절대로 바꿔서는 안 되는 경우를 세 가지로 제시한 것이다. 둘째는 현장의 번역해서는 안 되는 5가지, ‘5종불번’ 원칙이 있다. 그러나 구마라집은 ‘오실본 삼불역’의 제안자 도안과 ‘오종불번’의 제안자 현장와의 사이에 살았던 인물이기 때문에 ‘오실본 삼불역’의 일부 원칙만 적용하여 번역하였다.
    그러면 구마라집의 불전번역 방법론은 무엇일까? 이에는 3가지가 있다. 첫째는 ‘자유로운 의역(意譯)’의 방식, 둘째는 역장(譯場)에서 번역과 함께 강설(講說)을 병행하는 방식, 셋째는 신중하고 엄격하게 원문과 대조하여 번역하는 방식이다.
    불연선생은 구마라집의 번역 방법과 그의 학문태도에 담겨있는 특성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역에 머물지 않고 한역에 생략한 부분을 살리고, 또 복원한 산스끄리뜨본과 티베트어 번역을 참고하여 그 원 뜻을 살리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불연선생은 불전을 번역할 때 한역의 현토는 되도록 현대어에 가깝게 달았고, 독자들에게 현대적 감각으로 경전을 잘 소화할 수 있도록 더 세밀하게 나누며, 원래 없던 표제도 그의 스승 라모뜨 교수의 방식을 본받아 대부분 그대로 붙이고 있고, 한문 원문도 문단으로 구분한 뒤 거기에 번호를 매겨서 경전의 문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또 한문 번역과 한글 번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한역과 한글 번역을 직접 대조해서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산스끄리뜨본에 의지해서 한역으로는 의미가 잘 통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에는 산스끄리뜨본을 번역하거나 한역에 대한 한글번역 뒤에다 보충하여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달리 티베트 번역은 한글번역과 직접 대조하지 않고 필요할 때만 한역에 대한 한글번역의 다음에 티베트번역을 간간이 보충하거나 한역에 대한 한글번역 대신에 티베트번역을 해석하여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불연 선생의 불전번역 또는 불교학공부방법의 특징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겠다. ⑴한역에 없는 내용을 보충하여 번역한 경우, ⑵한역에 없는 내용을 산스끄리뜨 원문을 통해서 번역하거나 부연하여 번역한 경우, ⑶ 한역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을 티베트 번역본을 통해 번역하거나 보충한 경우이다.
    그의 이런 번역방식은 앞서 든 구마라집의 번역방식 가운데 좋은 점은 취하고 미진한 부분은 보충하는 방식에다 스승 라모뜨 교수의 번역과 공부 방법론도 일부 수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treatise inquires on the methodology of doctor Bulyeon(不然)’s Buddhology/Buddhist studies through translation on Vimalakīrtinirdeśa(維摩詰所說經). Bulyeon says that studies the Buddhist scriptures are the best way of study on the Buddhist scriptures which read those repeatedly. He stresses on the impotance of text language.
    Chaper 1. Practically Buddhist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 sanskrit and pāli into old chinese language. Thus the methodology of Buddhology have been study the literature which translated into old chinese language until now. First of all, we look into the principle and theory of translation on the Buddhist scriptures. These divide into two. Firstly, how to translate into the buddhist scriptures. It is four points of reference(catuḥ-pratisaranani) when we translates the buddhist scriptures. Second, what is the theory of translation on chinese translation? There are two. Firstly, Tao-an(道安)’s five losses of the basic principle and three immutability’. Second, Hsüantsang(玄奘)’s five kinds of non-translation.
    Chapter 2. We look into Kumarajiva’s method of translation on the buddhist scriptures. He suggests three principles, namely the method of liberal translation freely, the method of translation in parallel with lecture and the method of compare translation sentence with the original text strictly.
    Chapter3. Doctor Bulyeon seems to well known Kumarajiva’s method of translation o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the manner of study. Therefore he try to makes the best use of the original meanings that is no longer chinese translation, not only let out an abridged sentence in chinese translation but also restores sanskrit and tibetan language. It is his principle of translation on the buddhist scriptures. Next His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on the buddhist scriptures as follows. There are three. First, The method which supply the contents when are an abridged sentences in chinese translation. Second, method whether translate or amplify by sanskrit sentences when are an abridged sentences in chinese translation. Third, method whether translate or amplify by tibetan translation when are an lacking parts in chinese translation.
    I think that he is also influenced many by doctor Étienne Lamotte in the methodology of Buddhist studies, and Wonhyo(元曉) in thought. But owing to lack of study and time l leave study of this topic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