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불합치 판정 받은‘ 국민투표법’과 재외국민 참정권 (‘National Voting Law’ which was judged to be Constitutionally Inconsistency and Political Rights of Overseas Korea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10
20P 미리보기
헌법불합치 판정 받은‘ 국민투표법’과 재외국민 참정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재외한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외한인연구 / 46호 / 115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재기, 박찬용

    초록

    2014년 7월 헌법재판소는 국민투표법 제14조 1항 주민등록이 되어 있거나 국내 거소가 되어있는 사람만 투표하기로 되어있는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는240만명 규모의 재외국민의 참정권이 배제되기 때문이다. 당시 헌법재판소는 2015년 12 월 31일 까지 개선입법을 요청했고 이때까지 개정하지 않으면 2016년 1월 1일부터 국민투표법 조항은 효력을 잃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에서 판결한 2014년 7월 이후3년이 지났으나 아직까지 법령개정이 되지 않고 있다.
    2018년 초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6.13 지방선거 때 개헌투표를 실시하기 위해서는국민투표법을 먼저 고쳐야 한다는 유권해석으로 국민투표법 개정이 개헌 논의의 새로운변수로 부상 했었다. 선관위는 국민투표법이 개정되지 않으면 재외국민투표용 선거인명부 작성이 불가능하여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국민투표법을그대로 둔다면 240만명에 달하는 재외국민들의 참정권을 박탈하고 법령을 방치하는 것이된다.
    20대 국회에서 무소속 이용호 의원을 비롯하여 자유한국당 함진규 의원, 김도읍의원, 더불어 민주당 이원욱 의원, 심재권의원등이 국민투표법 일부개정 법률안을 발의 했다.
    지난 대선 공약으로 6월 지방선거와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실시한다는 공약을 내놓은자유한국당은 이제 와서 개헌은 권력구조와 시기 등의 개헌내용논의가 중요한 본질이라며 부수법안에 해당하는 내용을 두고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1987년에 개정된 헌법이 언제 개정될지 모르지만 헌법불합치 판정을 받은 국민투표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입법을 해야 하는 국회의원들의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직무유기로서 국민을 무시하며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중대한 사유가 된다. 이 논문을 통해 재외국민 240만명을 배제하여 헌법불합치 판정을 받은 국민투표법 개정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국민투표법의 역사와 국회에 계류중인 법률안을 비교해 보고 개정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July 2014,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Constitution was not in conformity with the provision that only those who are registered as resident registration in Article 14 of the National Voting Act or who are domestic residents are supposed to vote. This is because the suffrage of 2.4 million overseas Koreans is excluded. At that time, the Constitutional Court requested the amendment legislation by December 31, 2015, and if it is not revised by this time, the referendum law clause will be ineffective from January 1, 2016. However, 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July 2014,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but the law has not yet been amended.
    In early 2018,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revised the National People’s Voting Act as a new variable in the discussion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with the interpretation tha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should revise the National Voting Act in order to hold an amendment vote in the 6.13 local elections. The NEC said it would not be able to make an electoral list for overseas Koreans unless the National People’s Voting Act was amended, so it could not hold a constitutional referendum. Therefore, if the referendum law is left unchanged, it will deprive the 2.4 million overseas Koreans of their suffrage and neglect the laws and regulation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members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including the independent member Lee Yong-ho, the free Korean party lawmaker Ham Jin-kyu, Kim Do-eup, and the Democratic Party lawmaker Lee Wonok and Shim Jae-kwon, The free Korean government, which promised to hold a local election and a constitutional referendum in June as a pledge of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s now responding passively, arguing that it is important to discuss the constitutional amendments such as the structure and timing of power. The Constitution, which was amended in 1987, may be revised at any time, but the National Voting Act, which has been judged to be unconstitutional, should be revised. This is a serious reason for violating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ignoring the people as a duties that forget the original duties of lawmakers who have to legislate.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amendment of the National Voting Act, which has been ruled out of 2.4 million overseas Koreans and has been judg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I would like to compare the history of the referendum law with the pending legisl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look for ways to revise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