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求禮 華嚴寺 覺皇殿 線描三世佛會圖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Paintings in Line drawing of the Three Ages Buddhas Gakhwangjeon in Hwaeomsa Temple in Gury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6
40P 미리보기
求禮 華嚴寺 覺皇殿 線描三世佛會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2호 / 291 ~ 330페이지
    · 저자명 : 조은주

    초록

    구례 화엄사 각황전에는 거대한 중층 불전에 걸맞는 <삼불사보살상>의 후불화로 1860년(철종 11년)에 조성된 <화엄사 선묘삼세불회도>가 봉안되어 있다. 본존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을 각각의 화폭에 나누어 그렸는데 붉은 비단 바탕에 흰색 선으로 윤곽을 그렸고, 부분적인 채색으로 제작한 선묘불화이다. 이 작품은 당시 전라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화승 해운당 익찬(활동연대 1824-1862)을 비롯하여 30명의 화승들이 함께 제작한 작품이다. 특히 <화엄사선묘삼세불회도>는 각 화폭의 길이가 6m가 넘는 대형의 선묘불화로 같은 시기 조성된 후불화 중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규모로 제작되어 대형의 후불화 제작을 주도한 수화승 익찬의 역량을 짐작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작품이 봉안된 화엄사의 불사가 조선 후기 왕실 후원 사찰이라는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화엄사 선묘삼세불회도>의 자세한 조성 배경을 살펴보고, 작품 제작을 주도한 수화승 익찬이 전 생애에 걸쳐 작업한 작품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 작품이 지니는 선묘불화의 특징과 불교회화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품의 조성과 관련하여 화기에 기록된 내용과 조선 왕실의 상황을 고려해 보았을 때, 당시 왕실의 상황을 반영한 후사 발원과 왕실 일원의 축원을 위하여 대규모의 불화를 발원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임진왜란 이후 왕실 후원사찰로 재건된 화엄사의 불사 흐름 속에서 왕실을 위한 축원이 대규모 불사로 이어질 수 있었던 배경을 함께 살펴보았는데, <화엄사 선묘삼세불회도> 조성에 대시주자로 참여한 임응환과 이종무가 조선왕실과 깊은 연관이 있는 인물임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화엄사 선묘삼세불회도>에 나타난 익찬의 선묘 불화 화풍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40여년에 이르는 익찬의 작품 활동 중, 현존하는 선묘불화로는 1835년에 제작한 <송광사 자정암 석가모니후불도>와 1860년 작 <화엄사 선묘삼세불회도> 두 작품이 전한다. 이에 익찬이 작품 활동 초기에 제작한 또 다른 선묘불화인 <송광사 자정암 석가모니후불도> 와의 비교를 통하여 <화엄사 선묘삼세불회도>가 익찬의 변화된 후기 화풍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익찬의 완숙한 필력과 채색기법 등 다채로운 화풍 경향이 잘 발휘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re is in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in Gurye a linear painting of “Assembly of the Buddhas of Three Ages in Hwaeomsa Temple” which was painted in 1860 and enshrined as an altar painting for the statues of Three Buddhas and Four Bodhisattvas. Each of the three Buddhas is painted on a separate panel with the principal Buddha, Shakyamuni, placed at the center and flanked by Amitabha and Bhaisajyaguru. All the Buddhas are depicted with white lines on a red silk cloth and colored partially. The painting was made by a group of thirty monk painters led by Ikchan (a.k.a. Haeundang / fl. 1824-1862) who had been active in Jeolla-do area. The painting measures over 6 meters by 6 meters, significantly larger size than other altar painting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highlighting the competence of Ikchan as the leader of the Buddhist art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of the altar painting, “Assembly of the Buddhas of Three Ages in Hwaeomsa Temple”, focusing on that the major religious events held at Hwaeomsa Temple in which this painting is enshrined were patronized by the royal family of late Joseon. The study is also aimed to examin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Ikchan's linear Buddhist painting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art by comparing it with other paintings produced by Ikchan throughout his career as the head monk artis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Considering the records about the production of the painting, religious vows honoring it and the situation surround the royal family, it suggests that the royal family of late Joseon financed a variety of large religious events held in Hwaeomsa Temple, praying for the birth of the royal heir and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Following its restoration as a religious center receiving the patronage of the royal family after the Imjin Wars, Hwaeomsa Temple continued to host large-scale religious events praying for peace and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of Jose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two patrons, Im Eung-hwan and Yi Jong-mu, who made major contributions to the enshrinement of the “Assembly of the Buddhas of Three Ages in Hwaeomsa Temple”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oyal family of Joseon.
    The study also includes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linear Buddhist paintings by Ikchan. While his career as a monk painter was extended as long as to about 40 years, there are only two works remaining to offer tangible clues about his art, “Shakyamuni Altar Painting in Jajeongam Hermitage of Songgwangsa Temple” produced in 1835 and “Assembly of the Buddhas of Three Ages in Hwaeomsa Temple” produced in 1860. A comparison of the two paintings which respectively represent the early and later stages of the Ikchan's art revealed there had been significant development made between the different periods as the later work exhibits mature brush strokes, more refined coloring technique and combination of diverse painting 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