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간섭으로서의 자유’와 ‘종속으로부터의 자유’ 비교 (“Freedom as Non-interference” vs. “Liberty from Subjec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2.03
27P 미리보기
‘불간섭으로서의 자유’와 ‘종속으로부터의 자유’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64권 / 1호 / 111 ~ 137페이지
    · 저자명 : 임정아

    초록

    자유의 문제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데 밀의 자유 원리는 단순하다. 자유라는 ‘하나’의 언어로 표현되지만, 역사적이고 실천적 맥락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권리와 이익이 결부된 사례가 ‘자유’라는 이름으로 포섭되고, 포섭되기를 희망한다. 연구자는 자유 보장과 제한에 대한 일반 이론과 원칙이 제시된다고 해도, 적용의 예, 그리고 유형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한 시도로서 자유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밀의 자유 이론을 중심으로, 그의 자유의 원리와 온정적 간섭주의에 대한 이론적 해명들을 검토하고 그 함의를 파악하고자 한다. 밀은 『자유론』 1장 서론에서 개인의 절대적 자유를 주장한 것처럼 보인다. 그의 자유 원리는 해악의 원리로도 불리는데, 그것은 그가 자유에 대한 간섭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타인에 대한 해악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밀은 『자유론』 5장 원리의 적용에서 간섭을 말한다. 해악의 원리와 밀의 간섭주의는 서로 상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벌린의 소극적/적극적 자유 구분 및 소극적 자유 옹호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할 것이다. 벌린의 불간섭으로서의 자유에 대해, 연구자는 이 글에서 자유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테일러의 비판을 연결 고리로 삼아 페팃의 논의를 다룰 것이다. 페팃은 소극적 자유의 긍정적 측면을 수용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비예속으로서의 자유를 주장하지만 그 정당화에 실패한다. 한편, 그레이는 밀의 자유를 두 단계로 ‘안전’과 ‘자율’의 두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보편적인 자유로서의 ‘안전’보장, 일부만이 누리는 특수한 자유로서의 ‘자율’을 도입함으로써 밀의 간섭주의를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의 안전과 자율로의 이중적 자유 이해는 밀의 인간관에 대한 단편적 이해라는 도너와 어비나티의 비판을 받는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어비나티가 주장하는 밀의 자유가 갖는 평등주의적 시각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불간섭으로서의 자유가 포착하지 못하는 지배-예속의 제약들을 부각시키고 자율적 존재의 자유는 민주주의와 연관될 수밖에 없음을 말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solve a seeming contradiction between the harm principle and paternalism which Mill says both of in his essay On Liberty, by comparing two conceptions of freedom, i.e. freedom as non-interference and freedom from subjection. Berlin gives a distinction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liberty, argues for negative one as a true liberty, and allows no interference. To overcome the seeming contradiction, Gray takes binary concepts of Mill’s liberty as security and autonomy, a minimum one for all and a maximum one for full-fledged autonomous adult. Even though Pettit tries to accomodate Berlin’s two conceptions of liberty and overcome shortcomings of it, his endeavor backs to square one because he cannot justify the liberty of non-domination.
    By focusing attention on autonomy, I develop two arguments. First, with the help of critically examining conceptions of liberty from subjection by Urbinati in light of equality features of freedom, I claim that freedom as non-interference pays little attention to the constraints which exist as a form of domination-subjection. Seco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ty and autonomous being, I argue that liberty from subjection needs coequal and interdependent citizen in democratic society who interact each other through using one’s r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