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通潤의 不二的 禪觀 연구 (A Study on the Nonduality viewpoint of Seon by Tongru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1.12
29P 미리보기
通潤의 不二的 禪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호 / 279 ~ 307페이지
    · 저자명 : 박소령

    초록

    明代 승려인 一雨通潤은 어려서 출가하여 儒家의 典籍들과 佛典을 두루 수학하였으며, 명대 화엄종의 학승 설랑홍은(雪浪洪恩, 1548-1608)에게 오랫동안 사사하면서 교법을 연찬하였다. 통윤은 『維摩經』ㆍ『圓覺經』ㆍ『楞嚴經』ㆍ『法華經』ㆍ『起信論』ㆍ『成唯識論』 등의 여러 經論에 註釋書를 쓸 정도로 敎學에 능통하였으며 禪學에도 정통하였다. 이와 같이 通潤은 明代 佛敎의 특색을 반영하는 주요 佛典들을 두루 통달하고 깊은 사색과 간명한 필치로 여러 저술을 남기고 있어서, 著述에 매우 능했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가 저술한 주석서 가운데 하나인 『維摩詰所說經直疏』를 통해 『維摩經』의 不二思想을 禪과 관련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그 중에서도 禪思想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마경』 「弟子品」에 나오는 舍利弗의 宴坐(坐禪)에 대한 維摩居士의 비판과 참다운 좌선을 제시한 것에 대한 통윤의 해석과 관점을 살펴보았다.
    경전에서 유마거사는 ‘참다운 宴坐’에 대한 정의로 ‘三界에 몸과 생각을 나타내지 않는 것[不於三界現身意]’, ‘滅定에서 일어나지 않고 모든 威儀를 나타내는 것[不起滅定而現諸威儀]’, ‘道法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凡夫의 일을 나타내는 것[不捨道法而現凡夫事]’, ‘마음이 안에도 住하지 않으며, 밖에도 住하지 않는 것[心不住內不在外]’, ‘모든 견해에 움직임이 없고 37品을 수행하는 것[於諸見不動而修行三十七品]’, ‘煩惱를 끊지 않고 그대로 涅槃에 드는 것[不斷煩惱而入涅槃]’의 6가지를 말하고 있다. 다음 6가지 宴坐의 정의에 대해 통윤은 菩薩의 不二宴坐로 설명하면서 二乘이 坐禪하는데 看過할 수 있는 병폐를 不二的 禪觀의 입장에서 지적하고 있다. 그는 『維摩經』을 설명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一貫되게 不二法門을 나타내고 있다”고 언급한 것과 같이, 坐禪도 일관되게 不二의 觀照가 관건이 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통윤이 坐禪을 ‘菩薩의 大定’과 ‘二乘의 小定’으로 나눈 것은 진정한 좌선을 제시하는 동시에 한쪽에 치우친 좌선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가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점은 당시 禪修行者들의 잘못된 인식을 『유마경』의 不二思想을 통해 논파하고자 하는 의도가 들어있다. 그 중에서도 不二的 宴坐에 들지 못하는 二乘禪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당시 禪修行者를 비판한 내용과 잘 들어맞고 있다.

    영어초록

    Tongrun who was a monk of the Ming dynasty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in his childhood, and studied many books of confucianism as well as buddhist doctrine extensively.
    He studied under Xuelanghongen(雪浪洪恩) who was a learned priest(學僧) of the Hua-yen school(華嚴宗) in Ming dynasty for ages. and pursued his studies a doctrine.
    Tongrun is well acquainted with Buddhist and Seon doctrine enough to comment lots of treatises, sutras such as the Vimalakīrtinirdeśasūtra(維摩經), the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法華經), the Mahahavaipulya-purnabuddha-sutra-prasannartha-sutra(圓覺經), the Laṅkāvatārasūtra(楞伽經),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the Vīdyāmātrasiddhiśastra(成唯識論).
    Like this, it is plain enough that he was well-versed in writing because he was acquainted with essential buddhist doctrines which characterize buddhist in the Ming dynasty, and wrote voluminous works as a deep contemplation and a concise writing.
    Thus, this thesis dealt with how to understand mainly the Vimalakīrtinirdeśasūtra nonduality which is related to Seon through the Weimojiesuoshuojingzhishu(維摩詰所說經直疏), one of his annotations.
    Most of all, this thesis covers his interpretation and viewpoints, in which Licchavi Vimalakirti(維摩居士) criticized the sitting-meditation(坐禪) of Sariputra and showed a true sitting meditation in disciple chapter(弟子品), the Vimalakīrtinirdeśasūtra tha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on thought.
    Licchavi Vimalakirti defined true sitting meditations as 6 kinds in sutra.
    first, without appearing body and mind in the triple worlds.
    second, without raising nirodha-samapatti(滅盡定), appearing a dignified bearing(威儀).
    third, without abandoning buddhist path, appearing an ordinary person's as it is.
    fourth, without staying inside and outside in mind.
    fifth, without moving all kinds of views, practicing the thirty-seven aids to enlightenment(37助道品).
    finally, without renouncing affliction, entering into nirvana as it is.
    He explained the nonduality sitting-meditation(不二宴坐) of bodhisattva with six definitions above mentioned, and pointed out ills to miss easily when two vehicles sat in medita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nonduality viewpoint of Seon(不二的 禪觀).
    As he mentioned the Vimalakīrtinirdeśasūtra that show nonduality thought consistently from beginning to end, he said that sitting-meditation also need consistently contemplation of nonduality.
    It is for interpreting critically about sitting meditation biasedly and suggesting a true sitting meditation at the same time for Tongrun to divide sitting meditation into bodhisattva's greater-concentration(大定) and two vehicles's lesser-concentration(小定)This is his intention to controvert misconception of Seon-disciplinants(禪修行者) at that time through nonduality of the Vimalakīrtinirdeśasūtra.
    Chief of all, Tongrun's criticism about two vehicles-Seon which wasn't absorbed in nonduality-sitting meditation coincide with criticism about Seon-disciplinants in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