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식민지시기 산불대책 – 관리의 영역으로 들어온 산불 (Contingency plans for Forest fires,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Forest fires as Objects of management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03
33P 미리보기
일제 식민지시기 산불대책 – 관리의 영역으로 들어온 산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03호 / 119 ~ 151페이지
    · 저자명 : 백선례

    초록

    지금까지의 일제 식민지시기 산림정책 연구는 산림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권력이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임야면적을 파악하고 소유권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했으므로, 식민지시기 산림정책 연구도 임야조사사업에 주목하여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국가권력에 의한 산림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즉 국가 권력에게 산림 장악의 타당성을 부여한다는 측면에서 산림보호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이 글은 식민지시기 산림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운 정책 중 특히 산불 대책에 주목하여 이 시기를 거치면서 산불이 어떠한 필요에 따라 관리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산불은 식민권력의 주요 관심대상이 될 수는 없었으며, 산림정책이 시행되는 양상에 따라 산불이 부각되는 양상도 달라졌다. 따라서 북선개척사업 수행과 전시체제기 돌입이라는 상황에 맞춰 산불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진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목재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산불에 주목하게 된 것은 다소 아이러니하지만, 결국 산불은 관리의 영역으로 들어왔으며, 그 효과도 일정 부분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식민 권력의 산불관리가 삼림 전체에 끼친 영향은 그 삼림 이용과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산불은 권력에 의한 산림 관리의 효과와 한계를 동시에 드러내는 소재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Studies of the Colonial authorities’ forest polic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have so far concentrated upon examining how the forest resources were managed and exploited. As it was important for the authorities to survey the overall size of Joseon forests (and who owned them as well) in order to manage and monitor forest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colonial authorities launched certain projects in such vein, and those projects have been well studied by today’s researchers.
    Yet how the authorities were endowed with such power over forests, as well as the right to manage forests in the first place, was somewhat absent from previous studies. With the intention to compensate for such absence, the issue of forest protection will be examined in this article, in terms of the authorities’ supposed plans for fire fighting, which the colonial authorities claimed as stemming from their will to protect and preserve forests. By doing so we may see how the issue of forest fires entered the realm of state management to begin with.
    Of course, forest fires were initially never the priority of concern for colonial authorities, as earlier they had no reason to deem the issue either worthy or necessary. It was only natural for them to turn their attention to such issue (forest fires) in times when the Bukseon reclamation project was launched and wartime mobilization was firing up full scale. The authorities had to monitor all those forest fires because they needed all the woods they could get, and that was how forest fires entered their range of interests. With a systemic preservation policy in place, at least some of the forest fires may have been prevented. But the effect such policy ultimately had upon the forests in general should be assessed from a more balanced point of view, as such policy was intent upon utilizing all the forest resources, just as much as it was claimed to be interested in preserving them. In that regard, forest fires should be considered as a topic that could reveal both the effects and shortcomings of the colonial authorities’ intentions and effo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