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자표기법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의 생성 과정과 생성의 주체 (A study on the creation process and creators of Chinese character borrowing notation 譯上不譯下 translate leading kanj not translate trailing kanj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12
28P 미리보기
차자표기법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의 생성 과정과 생성의 주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31호 / 73 ~ 100페이지
    · 저자명 : 백두현

    초록

    중국 한문자 수용과 발전에 있어서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시기적으로 뒤처졌다. 그러나 신라는고구려와 백제에서 볼 수 없는 독창적 차자표기법을 창안했다. 앞글자는 훈으로 읽고, 뒷글자는 음으로 읽는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라는 차자법이 바로 그것이다. ‘譯上不譯下’라는 표현은 『삼국유사』 제4권 「원종흥법 염촉멸신(原宗興法猒髑滅身)」 기사에 처음 보이는데 ‘猒髑’(염촉)의 앞글자는 번역하고 뒷글자는 번역하지 않음을 뜻한다. 두 글자 이상의 차자 표기에서 한자의 훈(뜻)이 중심[主]이 되고, 음이 뒤따름[從]을 뜻하는 훈주음종(訓主音從)과 역상불역하는 그 본질이 유사하다. ‘역상불역하’라는 표현이 신라 당대 자료에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향가와 이두문 등의 표기에 이용되었다.
    신라 사람들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표기 수단으로 이용하였고, 여기에 창의적 변용을 더하였다. 이 과정(process)을 <학습⇒내면화⇒창의적 변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한 차자법을 만들고, 신라어 표현에 가장 적합한 ‘역상불역하’의 방법을 창안해 냈다. 한문자의 학습과 내면화 그리고 창의적으로 변용한 작업에는 이것을 행한 행위 주체가 있게 마련이다. 7세기 중반~8세기에 신라의 학승 음의가(音義家, 원측·순경 등) 수십 명이 활동하였다. 이들은 화엄경 등 여러 불경에 음과 뜻을 풀이한 주석을 달았다. 이 작업은 불경의 한문을 신라말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석의 상당 부분은 한자, 한문구, 한자음에 대한 풀이[釋名]이다. 비문과 목간문을 작성한 문척(文尺)도 이두문의 발달에 일정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유교 경서를 공부한 유학자를 대표하는 인물은 설총과 강수이다. 설총은 경서를 신라어로 풀이함으로써 유학 공부는 물론 구결의 발전에 기여했다. 화랑은 경서를 학습하고, 향가를 짓고 부름으로써 차자법 발달에 일정한 역할을 했다. 화랑도 교육은 백제와 고구려에 없는 신라 특유의 청년 교육 제도였고, 향가 역시 신라 특유의 것이다. 역상불역하의 차자표기법도 신라 특유의 것이니 지도자로서의 승려, 교육생으로서의 화랑, 이들이 지어 부른 향가, 향가를 표기하기 위한 역상불역하의 원리는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맺으며, 차차표기법 발달의 배경이 되었다.

    영어초록

    Silla lagged behind Goguryeo and Baekje i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Silla’s adop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led to the creation of a unique system of writing not found in Goguryeo and Baekje. This is the method known as Translate Leading Kanj not Translate Trailing Kanji(譯上不譯下), abbreviated term: TLK-nTLK), where the first character is read as hun(訓=meaning) and the second character is read as yin(音=sound). The phrase “譯上不譯下” first ap peared in the article 「原宗興法猒髑滅身」 in Volume 4 of 『三國遺事』.
    The Silla people borrowed the Chinese yin(音) and hun(訓) and used them in a way unique to Silla, adding creative variations to them. This process can be summarised as <learning⇒internalization⇒creati ve transformation>. By accepting the yin(音) and hun(訓) of Chinese characters and internalizing them, they created the most suitable script for Silla expression. The learning, internalizat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must have had actors who performed them. There were dozens of Silla’s annotator monks(圓測=Won-cheuk, 順璟=Sun-gyeong, etc.) who were active in the mid-seventh to eighth centuries. They annotated various Buddhist texts, such as the Hwaehum Sutra, by attaching sounds and meanings to them. This was do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text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Silla. A large part of the annotations are explanations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phrases, and Chinese sounds. These authors are called “yin yi monk”(音義家 學僧).
    The 文尺, who wrote stele inscriptions and woodcuts to record events, may have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Idu-sentence(吏讀文). Seol-chong(薛聰) and Kang-su(强首) are representative of scholars who studied Confucian texts. Seol-chong may have contributed to the internaliz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Gugyeol(口訣) by translating the texts into Silla. Hwarang(花郞) would have made his own contribution by learning the scriptures and building or singing Hyangga(鄕歌). Hwarangdo education was a youth education system unique to Silla that did not exist in Baekje(百濟) and Goguryeo(高句麗), and Hyangga(鄕歌) was also unique to Silla. The TLK-nTLK notation method is also unique to Silla, so monks as leaders, Hwarangs as trainees, the Hyangga they sang, and the TLK-nTLK principle for notating Hyangg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borrowing method(漢字借字法).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